"朴정부 4대권력기관 고위직 41%가 영남출신"
검찰-국세청 고위직은 영남권이 절반 넘어
박근혜 정부의 검찰, 경찰, 국세청, 감사원 등 소위 4대 권력기관 고위직 인사의 40.8%가 영남권 출신으로 집계됐다.
19일 민병두 민주당 의원이 4대 권력기관 고위직 인사 152명의 출신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대구경북이 35명(23.0%)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부산경남 27명(17.8%)으로, 영남 출신이 전체 고위직을 40%를 넘었다.
이어 ▲수도권 32명(21.1%) ▲호남권 27명(17.8%) ▲충청권 21명(13.8%) ▲강원 등 기타 10명 순이었다.
기관별로는 국세청 고위직 36명 중 14명이 대구경북(38.9%), 부산경남 4명 등 영남이 18명으로 50%나 됐다. 경찰 고위직 역시 전체 33명 중 대구경북 6명, 부산경남 9명으로 영남권이 과반에 육박하는 15명(45.5%)이나 됐다.
검사장급 이상 검찰 고위직 50명 중에서도 대구경북이 10명으로 가장 많았고, 부산경남 9명, 수도권 15명, 호남권 11명 순이었다.
감사원도 고위직 33명 중 대구경북 5명, 부산경남 5명 등 영남권이 10명(30.3%)이었고, 이어 수도권 6명(18.2%), 충청권 6명, 호남권 5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4대 권력기관 고위직 인사들의 출신고등학교는 경북고가 8명으로 가장 많았고, 대구고와 전주고가 각 7명, 진주고와 광주제일고가 각 6명의 순이었다.
출신대학은 서울대 60명, 고려대 22명, 경찰대 11명, 연세대 10명, 동국대 8명의 순이었다.
평균 연령은 만 53세(1960년생)이며, 만 45세(1968년생)부터 만 57세(1956년생)까지 연령 분포를 나타냈다.
민 의원은 이같은 조사결과에 대해 "박근혜정부가 TK정부답게 특정지역 편중인사를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국민통합을 위한 대탕평인사’라는 대국민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음이 입증된 것"이라며 "대선 당시의 ‘국민통합을 위한 대탕평인사’ 대국민 약속은 언제 지킬 것인가"라고 비판했다.
19일 민병두 민주당 의원이 4대 권력기관 고위직 인사 152명의 출신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대구경북이 35명(23.0%)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부산경남 27명(17.8%)으로, 영남 출신이 전체 고위직을 40%를 넘었다.
이어 ▲수도권 32명(21.1%) ▲호남권 27명(17.8%) ▲충청권 21명(13.8%) ▲강원 등 기타 10명 순이었다.
기관별로는 국세청 고위직 36명 중 14명이 대구경북(38.9%), 부산경남 4명 등 영남이 18명으로 50%나 됐다. 경찰 고위직 역시 전체 33명 중 대구경북 6명, 부산경남 9명으로 영남권이 과반에 육박하는 15명(45.5%)이나 됐다.
검사장급 이상 검찰 고위직 50명 중에서도 대구경북이 10명으로 가장 많았고, 부산경남 9명, 수도권 15명, 호남권 11명 순이었다.
감사원도 고위직 33명 중 대구경북 5명, 부산경남 5명 등 영남권이 10명(30.3%)이었고, 이어 수도권 6명(18.2%), 충청권 6명, 호남권 5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4대 권력기관 고위직 인사들의 출신고등학교는 경북고가 8명으로 가장 많았고, 대구고와 전주고가 각 7명, 진주고와 광주제일고가 각 6명의 순이었다.
출신대학은 서울대 60명, 고려대 22명, 경찰대 11명, 연세대 10명, 동국대 8명의 순이었다.
평균 연령은 만 53세(1960년생)이며, 만 45세(1968년생)부터 만 57세(1956년생)까지 연령 분포를 나타냈다.
민 의원은 이같은 조사결과에 대해 "박근혜정부가 TK정부답게 특정지역 편중인사를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국민통합을 위한 대탕평인사’라는 대국민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음이 입증된 것"이라며 "대선 당시의 ‘국민통합을 위한 대탕평인사’ 대국민 약속은 언제 지킬 것인가"라고 비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