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공정위 "CD금리 담합 결론, 2~3개월 이상 걸릴듯"

과징금, 최대 1조6천억까지 부과 가능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 짬짜미 의혹을 규명하려는 공정거래위원회 조사가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밀약 여부를 조기에 결론 내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공정위 관계자는 20일 "카르텔 조사는 일반 사건보다 시간이 오래 걸린다"며 "면밀하게 조사해야 하므로 2~3개월 안에 결론이 나지 않을 것 같다"고 밝혔다.

공정위 조사는 일반적으로 수개월 이상 소요되지만, 사안이 복잡할수록 사실 확인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 대상 기업이 많고 당사자들이 혐의 사실을 강하게 부인하면 1년을 넘기는 조사도 있다.

CD 금리 담합 의혹을 받는 금융회사는 19개(증권사 10개, 은행 9개)다.

공정위 관계자는 "담합 제재를 받는 기업이 행정소송을 내는 상황까지 염두에 두고 법리 검토까지 해야 하므로 시간이 오래 걸린다"고 전했다.

이번 CD 금리 조작 의혹은 사회적 관심이 쏠려 있는 점을 고려해 조사를 서두르겠지만, 확인해야 할 분야가 워낙 광범위하고 해당 금융사들이 의혹을 완강하게 부인하고 있어 단기간에 결론을 내리기가 쉽지 않다는 말도 덧붙였다.

따라서 이번 조사는 해를 넘길 수도 있다는 추정이 공정위 주변에서 나온다.

공정위는 금융사들의 금리 조작 의혹을 입증하고자 최근 이틀간의 현장 조사에서 확보한 각종 자료를 분석하고 있다.

공정위는 현장 조사 당시 금융사들의 컴퓨터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컴퓨터 저장장치에 남은 기록을 분석함으로써 CD 발행 업무를 맡은 실무자들이 다른 금융회사 직원들과 정보를 교환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다.

시중은행 자금담당자들의 모임인 자금부서장간담회가 정보교환의 창구가 됐는지도 집중하여 조사하고 있다.

은행자금을 조달하는 실무자들이 한 달에 한 번꼴로 모이는 이 자리에서 CD 금리에 대한 각종 정보를 교환했을 개연성이 크기 때문이다.

공정위는 CD 금리 산정 체계 자체에 문제점이 있는지도 따져볼 계획이다.

공정위는 최근 은행들에 CD 금리 외에 코픽스(COFIX)와 은행채 금리 결정 절차 등에 대한 자료를 요청했다. 금융기관의 금리 산정 체계와 CD 금리 산정 체계의 차이점을 비교ㆍ분석하려는 조치로 보인다.

CD 금리 담합 의혹이 사실로 드러나면 과징금 규모는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수도 있다.

6월 말 CD 금리에 연동한 가계대출 278조원의 평균 대출이자를 연 6%로 가정하면 은행 매출은 16조원을 넘어선다. 가격 밀약 과징금은 매출액의 최대 10%라는 점에서 1조6천억원까지 매겨질 수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짬짜미 기간에 따라 매출액 기준이 달라지므로 그보다 훨씬 낮아질 수도 있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댓글이 3 개 있습니다.

  • 2 0
    금융사기꾼의 시대

    90년대 이후에 정치의 시대가 가고 경제의 시대가 왔다고 연놈들이 거창하게 나불대더니..
    -
    결국 우리가 2010년대에 보게 된 건...
    -
    경제의 시대가 아니라 금융사기꾼들이 시대였다는 거야...
    -
    하긴 현직 대통령 자체가 금융사기행각에 연루되었다는 의심을 받고 있으니 말다했지

  • 1 0
    철퇴

    이 중차대한일에 왜침묵하나?
    서민들의 아픔인, 금융기관들의사기와 금유당국의 해괴한 변명에 쥐늑이 들렸나?
    민주통합당,진보당 국회의원등 민생국회대정부질문부터하라 !
    천만명의 손실과 피해를 외면하면 야당의 존재감은 없다. 해체해야 마땅하다.
    코맨트도않는 썩은 대변일들 같으니라구!

  • 3 0
    수상쩍다~나뿐놈들

    뭔가 대선에 써먹으려는 꼼수를 부릴려는거 같다..
    북풍공작이 잘 안먹힐까봐 2중,3중으로 머리 굴리는것 같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