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정상들 '극적 합의'에 세계증시 폭등
'공포지수', 8월 이전으로 진정. 실물경제 침체 불가피
유럽연합(EU) 정상들의 재정위기 해결 방안 합의에 27일(현지시간) 세계증시가 폭등했다.
이날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30 지수도 전일 종가보다 5.34% 폭등한 6,337.84,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 지수는 무려 6.27%나 폭등한 3,368.62로 거래를 마감했다.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 지수 역시 2.89% 상승한 5,713.82로 거래를 마쳤고, 그리스 ASE 지수도 4.82% 급등했으며 이탈리아와 스페인 증시도 각각 5.49%와 5.52% 뛰었다. 이밖에 오스트리아(4.49%), 덴마크(4.39%), 벨기에(3.96%), 핀란드(5.56) 등 유럽 모든 주가가 폭등했다.
폭등세는 곧바로 미국으로 이어져,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날 종가보다 339.51포인트(2.86%) 급등한 12,208.55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7월28일 이후 최고치로, 다우지수가 미국 신용등급 강등에 따른 폭락 이전의 수준으로 복귀했음을 의미한다.
S&P 500 지수도 42.59포인트(3.43%) 상승한 1,284.59를, 나스닥 종합지수는 87.96포인트(3.32%) 오른 2,738.63을 각각 기록했다.
EU재무장관 회의 취소 등 막판까지 신경전을 벌이던 EU 정상들은 이날 새벽까지 이어진 10시간 가까운 마라톤 회의 끝에 유럽의 재정위기 해결을 위한 합의 도출에 극적으로 성공했다.
정상들은 우선 유럽재정안정기금(EFSF)을 1조유로로 늘리기로 했다. 당초 목표했던 2조유로에는 못미치나 일단 발등의 불을 끌 수 있는 총알은 마련된 셈이다.
또한 역내 은행들이 1천60억 유로의 자본을 확충하도록 했으며 은행의 자기자본비율도 9%로 높여 건전성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은행 등 민간 채권자들의 그리스 채권 손실률(헤어컷)을 현재의 21%에서 50%로 올리기로 했다. 또한 그리스가 갚아야 할 채무 3천500억 유로 가운데 1천억 유로를 삭감해주고, 그리스 2차 구제금융 규모 1천300억 유로로 확대하기로 했다.
이같은 합의로 시장을 지배해온 공포감도 급속히 제거돼, 이날 공포지수로 불리는 S&P500 변동성지수 VIX는 전날보다 4.39포인트(14.7%) 급락한 25.47로 거래를 마감했다. 이는 지난 미국 신용등급 강등 이전의 수준이다.
이처럼 유럽 정상들의 극적 합의로 유럽 도미노 위기는 일단 발등의 불을 끈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반대급부로 재정위기 각국은 앞으로 강도높은 긴축과 구조조정 의무를 떠맡게 돼 중장기적 실물경제 침체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같은 실물경제 침체는 또다시 재정 및 금융 위기로 이전될 가능성도 여전해, 앞으로 상당 기간 세계경제의 앞날은 불확실성이 계속될 전망이다.
이날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30 지수도 전일 종가보다 5.34% 폭등한 6,337.84,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 지수는 무려 6.27%나 폭등한 3,368.62로 거래를 마감했다.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 지수 역시 2.89% 상승한 5,713.82로 거래를 마쳤고, 그리스 ASE 지수도 4.82% 급등했으며 이탈리아와 스페인 증시도 각각 5.49%와 5.52% 뛰었다. 이밖에 오스트리아(4.49%), 덴마크(4.39%), 벨기에(3.96%), 핀란드(5.56) 등 유럽 모든 주가가 폭등했다.
폭등세는 곧바로 미국으로 이어져,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날 종가보다 339.51포인트(2.86%) 급등한 12,208.55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7월28일 이후 최고치로, 다우지수가 미국 신용등급 강등에 따른 폭락 이전의 수준으로 복귀했음을 의미한다.
S&P 500 지수도 42.59포인트(3.43%) 상승한 1,284.59를, 나스닥 종합지수는 87.96포인트(3.32%) 오른 2,738.63을 각각 기록했다.
EU재무장관 회의 취소 등 막판까지 신경전을 벌이던 EU 정상들은 이날 새벽까지 이어진 10시간 가까운 마라톤 회의 끝에 유럽의 재정위기 해결을 위한 합의 도출에 극적으로 성공했다.
정상들은 우선 유럽재정안정기금(EFSF)을 1조유로로 늘리기로 했다. 당초 목표했던 2조유로에는 못미치나 일단 발등의 불을 끌 수 있는 총알은 마련된 셈이다.
또한 역내 은행들이 1천60억 유로의 자본을 확충하도록 했으며 은행의 자기자본비율도 9%로 높여 건전성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은행 등 민간 채권자들의 그리스 채권 손실률(헤어컷)을 현재의 21%에서 50%로 올리기로 했다. 또한 그리스가 갚아야 할 채무 3천500억 유로 가운데 1천억 유로를 삭감해주고, 그리스 2차 구제금융 규모 1천300억 유로로 확대하기로 했다.
이같은 합의로 시장을 지배해온 공포감도 급속히 제거돼, 이날 공포지수로 불리는 S&P500 변동성지수 VIX는 전날보다 4.39포인트(14.7%) 급락한 25.47로 거래를 마감했다. 이는 지난 미국 신용등급 강등 이전의 수준이다.
이처럼 유럽 정상들의 극적 합의로 유럽 도미노 위기는 일단 발등의 불을 끈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반대급부로 재정위기 각국은 앞으로 강도높은 긴축과 구조조정 의무를 떠맡게 돼 중장기적 실물경제 침체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같은 실물경제 침체는 또다시 재정 및 금융 위기로 이전될 가능성도 여전해, 앞으로 상당 기간 세계경제의 앞날은 불확실성이 계속될 전망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