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삼성경제연구소 "내년 성장률 3.6%로 급랭"

삼성 사장단 회의에서 내년 경기 침체 전망

삼성경제연구소(소장 정기영 사장)는 내년 세계경제는 3.5%, 한국경제는 3.6% 각각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정 소장은 21일 서울 서초동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열린 수요 사장단 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내년 경제 전망치를 발표했다.

그는 한국경제와 관련해 "올해 성장 둔화를 지나 내년도 저성장으로 갈 것"이라며 "지난해 성장률이 4.0%였는데 내년은 3.6%로 보고 있다"고 전망했다.

성장 동력이 약화되는 이유로 세계 경기 둔화로 수출 증가세가 위축되고 보조 동력인 내수가 수출 둔화를 보완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것이다.

부문별로는 세계 경제성장률이 1% 하락하면 한국의 수출 증가율은 4.2% 떨어지는 점을 고려하면 전통적인 수출 산업인 자동차, 석유화학이 주춤하고 반도체는 올해가 워낙 바닥이라 내년 소폭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민간 소비도 올해 2.8% 증가에서 내년 2.7% 증가로 다소 부진하고 물가상승률도 3.4%로 둔화하되, 서비스 가격은 올라갈 것으로 봤다.

금리는 4.5%에서 4.3%로 하락하고 원화는 올해 평균 1천93원에서 내년 1천60원으로 강세를 보이며 국제 유가는 올해 배럴당 105달러에서 내년 90달러로 크게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세계 평균 경제성장률은 내년 3.5% 성장하되, 선진국과 신흥국으로 나눠보면 미국은 작년보다 0.2%포인트 하락한 1.3%, 유로지역은 0.8%, 일본은 1.7%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점쳤다.

신흥국은 올해 6%에서 내년 5.6%로, 이 가운데 중국은 올해 9%에서 내년 8.6%로 각각 0.4%포인트 내려갈 것으로 예상했다.

정 소장은 "미국은 성장세가 둔화하겠지만 더블딥의 가능성은 작고 유로 지역은 재정 위기로 성장률이 금년 절반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본다"며 "선진국에 대한 수출 의존도가 높은 중국은 수출은 둔화하겠으나 내수가 성장세를 지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내년 경영 환경은 '불확실성의 확대'로, 이에 대비해 저성장 구조에서도 지속성장이 가능하고 외국의 규제에도 대응할 수 있는 경영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댓글이 1 개 있습니다.

  • 2 0
    개한민국

    나라 망하는 소리가
    여기~저기서 막 터지는구나
    쥐색끼 빨리 끌어내리지 못하면
    나라 망한다고 했는데
    결국은
    끝까지 가는구나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