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지방경제 명분으로 '대운하' 재추진?

정종환 장관 연일 대운하 예찬, MB계 한나라의원-민간도 동조

'대운하 전도사'로 불리는 정종환 국토해양부장관이 연일 한반도 대운하 추진을 주장하고 나서는가 하면, 이명박계 한나라당 의원들도 대운하 공약을 부활시켜야 한다는 입장이어서 정부가 지방건설경기 부활을 명분으로 '대운하 올인'에 나선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정종환 장관은 3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국시장경제포럼 초청 강연에서 대운하와 관련된 질문을 받고 "국민소득 4만달러 시대에 맞는 친수 공간이 필요하다"며 "이와 관련해 정치적으로 접근하는 것은 좋지 않으며 하천의 효율적인 이용 측면에서 진지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대운하 재추진 의지를 분명히 했다.

정 장관은 전날 국회 국토해양위원회에서도 "대운하는 취소된 게 아니라 중단된 것"이라면서 "요건이 조성되고 국민이 필요하다고 할 때 다시 할 수도 있다"고 주장했었다. 국토부는 또 경인운하 추진을 선언함으로써 사실상 '2단계 단계론'에 기초한 대운하 추진을 시작한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낳고 있다.

대운하 부활 드라이브를 거는 건 정 장관뿐이 아니다. 강승규·조해진 등 이명박계 초선의원 10여명은 지난 1일 국회도서관에서 첫 모임을 하고 '이명박 정책 복원'을 위한 모임을 만들었다. 이들은 이날 모임에서는 국민 다수 반대에 부딪쳐 침몰한 대운하 재추진 문제도 거론된 것으로 알려진다. 이밖에 이명박계 좌장인 이재오 전 의원도 미국에서 연일 대운하 재추진 메시지를 보내오고 있다.

민간의 움직임도 목격되고 있다. 김주성 이사장을 필두로 하는 한반도대운하재단은 인터넷신문, 인터넷방송국, 잡지, 출판사 등을 만들며 대운하 부활을 위한 여론몰이를 본격화하고 있다.

김주성 이사장은 2일 회원들에게 보내는 긴급담화를 통해 "한반도대운하는 우리나라 경제발전, 물부족 대비, 물류길, 관광, 휴양, 홍수대비, 친환경, 환경오염 방지 등 너무도 필요하고 중요한 일"이라며 "한반도대운하는 반드시 추진될 것"이라고 단언했다. 한반도대운하신문은 정종환 국토부장관의 대운하 추진 발언을 주요뉴스로 대서특필했다.

한반도대운하 추진 세력이 최근 들어 노골적으로 대운하 재추진 드라이브를 거는 것은 이명박 대통령 지지율이 반등해 대운하 재추진의 계기가 마련됐다는 판단외에, 15만가구의 미분양 사태로 연쇄도산 위기를 맞고 있는 지방건설사들을 살리는 길은 한반도대운하라는 대형 토목공사밖에 없다는 판단인 것으로 알려진다. 즉 1930년대 미국대공황때 테네시댐을 세웠던 것과 같이 대규모 토목공사를 일으켜야 하며 대운하가 바로 '한국판 뉴딜'의 대상이 돼야 한다는 주장인 셈.

이들은 지금 국민여론이 나쁜 건 사실이나, 지방경제 살리기라는 명분을 내세우면 지방여론이 찬성쪽으로 돌아서지 않겠냐는 기대를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상황 변화에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곳은 증권시장. 3일 증시에서는 삼호개발, 이화공영, 특수건설, 삼목정공, 홈센타, 동신건설, 신천개발 등 세칭 대운하주가 대부분 상한가를 기록하는 등 대운하 부활에 뜨거운 기대를 표시하고 있다.
김동현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2 개 있습니다.

  • 18 18
    지나가다

    모든 길은 건설/개발로 통한다
    국토야 절단이 나건 말건, 환경/생태야 파괴가 되건 말건 오로지 개발과 건설에 목을 매는 2MB 정권 - 아는 게 그 것 밖에 없으니 죽으나 사나 삽질 만세. 그 이면에는 이미 정권과 그 주위의 개발 정보를 입수한 자들이 부동산 투기를 해 놓았으니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밀어 붙쳐야 하는 절박감. 그렇지 않다면 이렇게 죽어라고 대운하에 목을 걸 일이 없으련만... 이제는 분노가 치밀어 오르는 것이 아니라 한심하고 천박한 발상과 사고에 그저 불쌍하다는 생각 뿐

  • 40 11
    111

    땅을 너무 사랑한 나머지
    부동산투기거품에 올인. 돈은 땅에 묶여있으니
    하루빨리 찾아야 하는데......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