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차관 "대운하, 물동량 적으면 만들면 돼"
환경차관인지 국토해양부차관인지...대운하 강행 논란 증폭
환경 보전이 주업무인 이병욱 환경부차관이 1일 한반도 대운하와 관련, "물동량이 적으면 만들면 된다"는 등 대운하 강행 입장을 밝혀 논란이 일고 있다.
이 차관은 이날 출입기자단과 간담회를 갖고 "대운하에 대해서는 종합적인 연구와 평가가 있어야 하는데 이런 부분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며 "대운하의 물동량 부분에 대해서도 물동량은 적으면 많게 만들면 되는 것인데 물동량이 적을 것이라는 일방적인 주장만 나오고 있다"고 대운하 반대 진영을 비난했다.
이 차관은 "물동량에 대해 논의할 때 대운하의 물동량이 철도나 도로보다 낮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이는 철도나 도로의 물동량이 현재 포화상태라는 것을 간과한 것"이라며 "대운하의 물동량을 예측할 때 기존의 철도 비용뿐 아니라 철도를 새로 만드는 데 필요한 비용까지 같이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이 차관이 과연 환경부 차관인지, 국토해양부 차관인지를 헷갈리게 하는 발언.
그는 또 "찬성과 반대 중 하나만을 이야기하는 것은 국론을 분열시키자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며 "NGO(시민단체)들과 같이 공부도 하고 이야기도 하자고 하려는데 이들이 무조건 반대 의견만 내세워서 잘 안되고 있다"고 시민단체들을 비판하기도 했다.
그는 수질 문제에 대해 "여러 강을 돌아다녀보니 한국에는 강이라고 부를 수 있을 만한 게 몇개 없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수질이 좋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됐다"며 "영산강의 경우 워낙 수질이 나쁘기 때문에 운하를 만들어야 한다는 (환경부) 장관의 생각에 일리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거듭 대운하 강행 의지를 드러냈다.
세종대 지구환경학과 교수 출신인 이 차관은 이명박 대선캠프 출신으로 지난 2월 새 정부 출범과 함께 환경부차관으로 임명됐다.
이 차관 발언은 국토해양부의 대운하 극비추진 보고서 등으로 정부가 총선후 대운하를 강행하려는 게 아니냐는 의혹을 낳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한층 논란을 증폭시킬 전망이다.
이 차관은 이날 출입기자단과 간담회를 갖고 "대운하에 대해서는 종합적인 연구와 평가가 있어야 하는데 이런 부분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며 "대운하의 물동량 부분에 대해서도 물동량은 적으면 많게 만들면 되는 것인데 물동량이 적을 것이라는 일방적인 주장만 나오고 있다"고 대운하 반대 진영을 비난했다.
이 차관은 "물동량에 대해 논의할 때 대운하의 물동량이 철도나 도로보다 낮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이는 철도나 도로의 물동량이 현재 포화상태라는 것을 간과한 것"이라며 "대운하의 물동량을 예측할 때 기존의 철도 비용뿐 아니라 철도를 새로 만드는 데 필요한 비용까지 같이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이 차관이 과연 환경부 차관인지, 국토해양부 차관인지를 헷갈리게 하는 발언.
그는 또 "찬성과 반대 중 하나만을 이야기하는 것은 국론을 분열시키자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며 "NGO(시민단체)들과 같이 공부도 하고 이야기도 하자고 하려는데 이들이 무조건 반대 의견만 내세워서 잘 안되고 있다"고 시민단체들을 비판하기도 했다.
그는 수질 문제에 대해 "여러 강을 돌아다녀보니 한국에는 강이라고 부를 수 있을 만한 게 몇개 없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수질이 좋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됐다"며 "영산강의 경우 워낙 수질이 나쁘기 때문에 운하를 만들어야 한다는 (환경부) 장관의 생각에 일리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거듭 대운하 강행 의지를 드러냈다.
세종대 지구환경학과 교수 출신인 이 차관은 이명박 대선캠프 출신으로 지난 2월 새 정부 출범과 함께 환경부차관으로 임명됐다.
이 차관 발언은 국토해양부의 대운하 극비추진 보고서 등으로 정부가 총선후 대운하를 강행하려는 게 아니냐는 의혹을 낳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한층 논란을 증폭시킬 전망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