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가로수길 공실률 40%도 돌파. 거의 폐허 수준
"올해 비필수재 소비 큰 타격 받을듯"
17일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코리아의 '2024년 4분기 리테일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4분기 명동, 이태원, 강남 등 서울 주요 상권 평균 공실률은 16.6%로 전분기보다 0.5%포인트 감소에 그쳤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공실률이 낮아지는 등 회복 조짐을 보이던 공실률이 작년 4분기를 기점으로 회복 둔화세로 접어든 것.
특히 강남 가로수길(41.2%) 공실률은 전분기보다 5.2%포인트, 작년 4분기보다 4.9%포인트 각각 높아졌다. 거의 두 집 가운데 한 곳이 빈 가게라는 의미다.
한남과 도산, 성수 등으로 방문객을 빼앗기며 상권이 거의 폐허 수준으로 심각하게 쇠락하고 있다는 의미다.
청담 공실률도 18.0%로 전분기보다 2.0%포인트 높아졌다.
강남(15.4%), 한남·이태원(10.5%), 홍대(10.0%) 등의 순으로 공실률이 높았으나 전분기보다는 공실률이 낮아졌고, 외국인 관광객이 많이 찾는 명동만 4.4%로 한자릿수 공실률을 유지했다.
보고서는 올해에는 고물가와 고환율이 지속되고 가계부채 부담이 커지면서 소비 지출이 전반적으로 위축될 것이라며 "특히 여가와 쇼핑 등 비필수재 소비가 큰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