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마지막 국무회의, '盧 침묵'속 한덕수 총리가 진행

일부 국무위원들, 후임 장관 선임 문제 놓고 우려 표명

임기를 5일 남긴 노무현 대통령이 19일 마지막 국무회의를 주재하면서 아무런 언급 없이 한덕수 총리에게 회의를 진행하도록 하는 등 침묵 속에 참여정부 최후의 국무회의를 마쳤다.

이날 국무회의에 앞서 한덕수 총리는 마지막 국무회의에 대한 소감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다들 열심히 했고, 국가가 요구한 국정에 힘을 합치도록 노력했다"고 말했다.

윤대희 국무조정실장은 "새로운 국무위원들이 자리를 지켜야 하는데 걱정스럽다. 헌법상 국무회의 의결이 필요한 사안이 있을 텐데, 국무위원이 있어야 정부의 연속성이 유지된다"고 밝히는 등 일부 국무위원들은 정부조직 개편 협상 결렬에 따른 국정 공백을 우려했다. 김장수 국방부장관도 "후임 장관이 빨리 선임돼야 한다"며 "(다른 부처는 차관 대행체제가 가능하지만) 국방부는 차관 정무직도 없다"고 우려했다.

한편 노무현 대통령은 전날 이명박 당선인과의 회동에서 퇴임 후 서울 거처 문제 등에 대해서도 대화를 나눴다고 문재인 비서실장이 전했다. 문 실장은 '두 사람의 대화가 공개된 것이 별로 없다'는 기자 질문에 "이것저것 두루 얘기했다"며 "예를 들어 당선인이 '퇴임후 서울에 오면 거처할 곳이 있느냐'고 물었고 , 대통령은 '아직 따로 정한바 없다'고 말하자 당선인이 다시 '아들이 귀국해 서울에 거처를 마련하면 하루 이틀 이용할수 있지 않느냐'고 답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김홍국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1 개 있습니다.

  • 5 3
    정통개혁보수

    수고하셨습니다.
    악귀같은 자들이 노통을 너무 헐뜯고 흑색, 폄훼를 일삼았지요. 오직 명바기 찬가에만 열심히 그들이 맡은 대한민국.... 10년전처럼 다시 국가부도와 대량실직으로 민생파탄이나 일으키지 않을지 걱정입니다. 10년전에도 엄청난 무역적자로 국고가 텅비어 국가부도가 목전에 왔는데도 오직 영삼이 찬가만 불렀었지요. 그때와 지금이 너무나 닮았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