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정 “'민주노총당' '친북당' 타파하겠다”
“비례대표, 실력있는 당밖인사에게 우선 배려"
심상정 민주노동당 비상대책위원장은 14일 '친북당' '민주노총당' 같은 기존 당의 이미지를 혁파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민주노총에 대한 당직 할당제 재검토, 일심회 사건에 대한 객관적 평가, 외부 인사 중심의 비례대표 추천 등 강도 높은 개혁을 단행하겠다고 말했다.
심상정 "민주노총당-친북당 이미지 모두 타파"
심 위원장은 이날 첫 기자간담회에서 “심상정 비대위는 위기에 대한 일시적 대응이 아니라 과감한 혁신으로 직면한 큰 어려움을 큰 길에서 당당하게 극복하겠다는 민주노동당의 각오와 결의의 표현”이라며 “당의 낡은 요소를 과감하게 혁신하겠다. 운동권 정당, 민주노총당, 친북당 등 그동안 제기된 국민의 질책과 경고를 겸허하게 받아드리고, 새롭게 거듭나겠다”고 제2차당 차원의 당 쇄신을 약속했다.
심 위원장은 우선 '민주노총당' 이미지 쇄신을 위해 “민주노총에 대한 과도한 의존 구조를 개혁하겠다”며 “민주노총에 대한 과도한 의존을 벗어나 독자적이고 주체적인 노동정치를 펼쳐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를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 “그동안에 노동정책 사업, 당직에 대한 노동부문 할당제 등 기존 당의 노동전략과 관련해서 전면적 재검토를 추진하겠다”며 “노동자들의 정치적 훈련을 강화하고, 비정규직 노동자를 중심으로 한 노동전략으로 재편될 수 있도록 노동정치 혁신 방안을 찾겠다”고 밝혔다.
그는 '친북당' 이미지 쇄신과 관련해선, “편향적 친북당이라는 이미지와 단절하고, 책임있는 평화 정당으로 거듭나겠다”며 “민주노동당에 대한 오해와 불신을 만든 일심회 사건 등에 대한 객관적이고 성역없는 평가를 단행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아울러 “고질적으로 제기되는 당내의 이른바 ‘종북논란’의 근본적 해소를 위해서는 진보정당의 위상에 걸맞는 독자적 평화, 통일 비전과 민족주의 문제의 재정립이 필요하다”며 “진보진영 전체가 참여하는 폭넓은 토론과 논쟁의 장을 만들어 21세기 한국 진보의 평화, 통일 비전을 재정립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평등파 일각에서 제기되는 일심회 연루자 최기영 전 사무부총장의 출당 여부에 대해선 “일심회를 비롯한 여러 쟁점에 대한 평가를 당원 모두가 참여하되 국민들에게 평가받는 과정에서 진행할 것”이라며 “그 결과에 따라 당헌당규에 입각해 처리할 것”이라는 원론적 입장만 밝혔다.
“정파갈등 지양, 민노당 문호 과감히 개방
심 위원장은 또한 외부인사 영입과 관련해선 “정파담합 패권 구조를 지양하고, 비대위 뿐만 아니라 이번 총선에서 민주노동당의 문호를 진보진영 전체를 향해 과감하게 개방하겠다”며 “진보정당 최초의 쉐도우 캐비냇(Shadow Cabinet, 예비내각)체제를 구축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임종인 의원 등 기존 정치인과의 연대도 가능한가’라는 질문에는 “현역정치인은 제2창당 비전속에서 협력할 부분을 함께 해 나갈 것”이라며 “당장 민노당 틀 안에서 함께하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겠지만, 비대위 거쳐 제2창당운동 지향하는만큼 향후 적극적으로 함께 해나가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는 또 비대위의 핵심 권한인 비례대표 추천권과 관련해선 “당 안팎 인사를 고려하되 명망보다는 실력, 당 안보다는 당 밖의 인사가 추천될 것”이라고 밝혀, 외부인사에게 우선적으로 배려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민주노총-자주파 반발 불가피, 심상정 비대위 첫 고비 될 듯
심 위원장의 혁신안은 그동안 민노당 창당 이래 암묵적으로 인정돼왔던 당내 기득권 전반을 개혁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그러나 비대위 출범 이전부터 비대위 전략공천권 위임을 반대해왔던 민주노총, 일심회 사건에 대한 당내 목소리를 강하게 제어해왔던 자주파의 반발이 거셀 것으로 보여 혁신을 둘러싼 진통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비례대표 추천을 당 외부 중심으로 하겠다는 방침은 자주파의 정치적 기반을 뿌리채 흔들 가능성이 높고 노동부문 할당제 재검토는 민주노총의 반발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심상정 비대위가 당 안팎의 거센 반발이 예상되는 쇄신작업을 어떻게 단행할지가 4월 총선에 민노당의 부활 여부를 재는 바로미터가 될 전망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심상정 "민주노총당-친북당 이미지 모두 타파"
심 위원장은 이날 첫 기자간담회에서 “심상정 비대위는 위기에 대한 일시적 대응이 아니라 과감한 혁신으로 직면한 큰 어려움을 큰 길에서 당당하게 극복하겠다는 민주노동당의 각오와 결의의 표현”이라며 “당의 낡은 요소를 과감하게 혁신하겠다. 운동권 정당, 민주노총당, 친북당 등 그동안 제기된 국민의 질책과 경고를 겸허하게 받아드리고, 새롭게 거듭나겠다”고 제2차당 차원의 당 쇄신을 약속했다.
심 위원장은 우선 '민주노총당' 이미지 쇄신을 위해 “민주노총에 대한 과도한 의존 구조를 개혁하겠다”며 “민주노총에 대한 과도한 의존을 벗어나 독자적이고 주체적인 노동정치를 펼쳐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를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 “그동안에 노동정책 사업, 당직에 대한 노동부문 할당제 등 기존 당의 노동전략과 관련해서 전면적 재검토를 추진하겠다”며 “노동자들의 정치적 훈련을 강화하고, 비정규직 노동자를 중심으로 한 노동전략으로 재편될 수 있도록 노동정치 혁신 방안을 찾겠다”고 밝혔다.
그는 '친북당' 이미지 쇄신과 관련해선, “편향적 친북당이라는 이미지와 단절하고, 책임있는 평화 정당으로 거듭나겠다”며 “민주노동당에 대한 오해와 불신을 만든 일심회 사건 등에 대한 객관적이고 성역없는 평가를 단행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아울러 “고질적으로 제기되는 당내의 이른바 ‘종북논란’의 근본적 해소를 위해서는 진보정당의 위상에 걸맞는 독자적 평화, 통일 비전과 민족주의 문제의 재정립이 필요하다”며 “진보진영 전체가 참여하는 폭넓은 토론과 논쟁의 장을 만들어 21세기 한국 진보의 평화, 통일 비전을 재정립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평등파 일각에서 제기되는 일심회 연루자 최기영 전 사무부총장의 출당 여부에 대해선 “일심회를 비롯한 여러 쟁점에 대한 평가를 당원 모두가 참여하되 국민들에게 평가받는 과정에서 진행할 것”이라며 “그 결과에 따라 당헌당규에 입각해 처리할 것”이라는 원론적 입장만 밝혔다.
“정파갈등 지양, 민노당 문호 과감히 개방
심 위원장은 또한 외부인사 영입과 관련해선 “정파담합 패권 구조를 지양하고, 비대위 뿐만 아니라 이번 총선에서 민주노동당의 문호를 진보진영 전체를 향해 과감하게 개방하겠다”며 “진보정당 최초의 쉐도우 캐비냇(Shadow Cabinet, 예비내각)체제를 구축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임종인 의원 등 기존 정치인과의 연대도 가능한가’라는 질문에는 “현역정치인은 제2창당 비전속에서 협력할 부분을 함께 해 나갈 것”이라며 “당장 민노당 틀 안에서 함께하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겠지만, 비대위 거쳐 제2창당운동 지향하는만큼 향후 적극적으로 함께 해나가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는 또 비대위의 핵심 권한인 비례대표 추천권과 관련해선 “당 안팎 인사를 고려하되 명망보다는 실력, 당 안보다는 당 밖의 인사가 추천될 것”이라고 밝혀, 외부인사에게 우선적으로 배려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민주노총-자주파 반발 불가피, 심상정 비대위 첫 고비 될 듯
심 위원장의 혁신안은 그동안 민노당 창당 이래 암묵적으로 인정돼왔던 당내 기득권 전반을 개혁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그러나 비대위 출범 이전부터 비대위 전략공천권 위임을 반대해왔던 민주노총, 일심회 사건에 대한 당내 목소리를 강하게 제어해왔던 자주파의 반발이 거셀 것으로 보여 혁신을 둘러싼 진통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비례대표 추천을 당 외부 중심으로 하겠다는 방침은 자주파의 정치적 기반을 뿌리채 흔들 가능성이 높고 노동부문 할당제 재검토는 민주노총의 반발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심상정 비대위가 당 안팎의 거센 반발이 예상되는 쇄신작업을 어떻게 단행할지가 4월 총선에 민노당의 부활 여부를 재는 바로미터가 될 전망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