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 <조선일보> 구독거부운동 본격 돌입
천태종 등 27개 불교계 종단에도 동참 요청
조계종이 <조선일보> 구독거부운동에 본격 돌입했다.
조계종 총무원은 8일 전국 2천3백여개 사찰에 지난 5일 본사주지회의 결의에 따라 <조선일보> 구독을 거부하라는 지침을 발송했다.
총무원은 이 지침에서 법회와 행사 때 <조선일보> 구독 거부 운동의 의미를 알리는 홍보물을 나눠주며 서명운동을 전개하고, 전국 2천3백여개 소속 사찰과 신도 개인들도 구독을 거부하고 결과를 총무원에 알리도록 했다. 이에 따라 서울 조계사 등 조계종 소속 사찰들은 총무원의 지침에 따라 이날 일제히 <조선일보> 구독 거부 현수막을 내걸었다.
총무원은 구독 거부 이유로 △‘부정한 돈을 지급받은 사찰이 신정아씨에게 사례비를 주었다’고 허위사실을 유포하고 △‘사찰 관련 인물? 변양균 고급 숙소 숙박비 누가’ 등 추측성 음해 보도를 했고 △‘월정사 문화재 보수비, 신정아와 관련된 것’이라는 등의 불교계에 대한 허위·왜곡 보도를 했다는 점을 제시했다.
조계종은 이와 함께 태고종, 천태종, 진각종 등 27개 종단이 참여하고 있는 한국불교종단협의회(회장 지관 스님)를 통해서도 <조선일보> 구독 거부 운동에 관한 협조요청서를 보내기로 했다.
조계종은 이와 함께 전국 사찰에서 초하루 집회가 일제히 열리는 오는 11일(음력 9월 1일)을 신도 대상 서명운동의 ‘D-데이’로 잡았다.
한편 조계종 총무원 부·실장급 간부 전원은 이날 “신정아 사건으로 시작된 종교 편향, 불교 음해, 왜곡 수사와 보도 등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 책임을 지겠다”며 일괄사표를 냈다. 이날 사표를 낸 스님들은 총무부장 현문 스님, 기획실장 승원 스님, 사회부장 지원 스님, 문화부장 수경 스님, 재무부장 범여 스님, 호법부장 심우 스님, 한국불교문화사업단장 종훈 스님, 조계종 사회복지재단 상임이사 정념 스님 등 8명이다.
조계종 총무원은 8일 전국 2천3백여개 사찰에 지난 5일 본사주지회의 결의에 따라 <조선일보> 구독을 거부하라는 지침을 발송했다.
총무원은 이 지침에서 법회와 행사 때 <조선일보> 구독 거부 운동의 의미를 알리는 홍보물을 나눠주며 서명운동을 전개하고, 전국 2천3백여개 소속 사찰과 신도 개인들도 구독을 거부하고 결과를 총무원에 알리도록 했다. 이에 따라 서울 조계사 등 조계종 소속 사찰들은 총무원의 지침에 따라 이날 일제히 <조선일보> 구독 거부 현수막을 내걸었다.
총무원은 구독 거부 이유로 △‘부정한 돈을 지급받은 사찰이 신정아씨에게 사례비를 주었다’고 허위사실을 유포하고 △‘사찰 관련 인물? 변양균 고급 숙소 숙박비 누가’ 등 추측성 음해 보도를 했고 △‘월정사 문화재 보수비, 신정아와 관련된 것’이라는 등의 불교계에 대한 허위·왜곡 보도를 했다는 점을 제시했다.
조계종은 이와 함께 태고종, 천태종, 진각종 등 27개 종단이 참여하고 있는 한국불교종단협의회(회장 지관 스님)를 통해서도 <조선일보> 구독 거부 운동에 관한 협조요청서를 보내기로 했다.
조계종은 이와 함께 전국 사찰에서 초하루 집회가 일제히 열리는 오는 11일(음력 9월 1일)을 신도 대상 서명운동의 ‘D-데이’로 잡았다.
한편 조계종 총무원 부·실장급 간부 전원은 이날 “신정아 사건으로 시작된 종교 편향, 불교 음해, 왜곡 수사와 보도 등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 책임을 지겠다”며 일괄사표를 냈다. 이날 사표를 낸 스님들은 총무부장 현문 스님, 기획실장 승원 스님, 사회부장 지원 스님, 문화부장 수경 스님, 재무부장 범여 스님, 호법부장 심우 스님, 한국불교문화사업단장 종훈 스님, 조계종 사회복지재단 상임이사 정념 스님 등 8명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