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주유만큼 빠르다"…중국 BYD 전기차 충전 쇼크

"5분 충전에 400㎞ 주행"…테슬라·벤츠 앞서

세계 전기차 판매 1위인 중국 BYD가 내연기관 차량 주유 시간만큼 빠르게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와 충전시설을 출시한다.

18일 블룸버그 통신과 BYD 웨이보 등에 따르면 왕촨푸 BYD 회장은 전날 중국 선전 본사에서 개최한 발표회에서 5분 충전으로 400㎞를 주행할 수 있는 '슈퍼 e-플랫폼'을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BYD는 새로운 전기차 배터리 및 충전시스템이 세계 최초로 양산 승용차에 1천V 고전압과 1천kW 충전 전력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는 15분 충전으로 주행거리 275㎞를 확보하는 테슬라 슈퍼차저보다 빠르고 메르세데스벤츠가 지난주 공개한 CLA 전기차 세단이 10분 충전으로 325㎞를 주행할 수 있는 것보다도 앞선다.

왕촨푸 회장은 "BYD의 목표는 전기차의 충전 시간을 내연기관 자동차의 주유 시간만큼 최대한 짧게 하는 것"이라며 "충전 속도 면에서 '석유와 전기의 동일한 속도'를 달성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BYD는 슈퍼 e-플랫폼이 적용된 차량을 내달부터 판매할 예정이며 중국 전역에 초급속 충전소 4천개 이상을 설치하겠다고 밝혔다.

왕 회장은 또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까지 가속하는 데 걸리는 시간(제로백)이 2초에 그친다고 강조했다.

BYD는 이 플랫폼을 적용한 첫 모델인 '한L' 세단과 '탕L' 스포츠유틸리티차(SUV)를 각각 최저 27만위안(약 5천400만원)과 28만위안(약 5천500만원)에 예약판매를 시작했다.

미국 매체 악시오스에 따르면 전기차 충전 스타트업 차지웨이의 창업자 매트 테스케는 BYD의 새로운 플랫폼 출시에 따라 테슬라는 전기차 배터리와 충전기술 분야의 선두에서 후발주자로 전락했다고 평가했다.

다만, 악시오스는 BYD가 어떤 종류의 배터리를 사용했는지와 배터리 크기 등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블룸버그는 충전에 많은 시간을 쓰기를 원하지 않는 소비자들이 전기차로 바꿀 유인이 늘어날 수 있다고 평가했고, 미국 CNBC 방송도 전기차 주행거리와 관련한 소비자들의 우려를 덜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매쿼리캐피털 애널리스트들은 "BYD가 전략적 전환을 진행 중이라는 또 다른 신호"라면서 "경쟁이 치열한 시장에서 가격·디자인으로 경쟁하거나 틈새시장에 진입하기보다는 규모와 핵심 전기차 기술을 이용해 차별화하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배터리 전기차 채택의 주요 장애물 가운데 하나에 직접 대처함으로써 고객들에게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로 바꿀 더 명확한 길을 제시하고 있다"고 했다.

블룸버그인텔리전스의 요안나 첸 애널리스트는 "신모델 출시 흐름의 시작일 수 있다"고 봤다. 그러면서 지난해 BYD 판매량에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이 순수 전기차 모델을 앞섰는데 이 흐름이 다시 뒤집힐 수 있다고 예상했다.

이날 홍콩증시에서 BYD 주가는 강세이며, 한국시간 오후 4시 7분 기준 전장 대비 3.94% 오른 400.80홍콩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BYD 주가는 장 초반 전장 대비 6%가량 오른 408.8 홍콩달러를 찍어 지난달 기록한 신고가에 다시 한번 도달했으며, 시가총액은 포드·제너럴모터스(GM)·폭스바겐 시총을 합친 것보다 많은 1천620억 달러(약 235조원)에 근접하기도 했다.

BYD는 지난달에는 저가 모델을 포함한 거의 모든 차종에 첨단 자율주행 시스템 '신의눈'(天神之眼)을 무료로 제공한다고 밝힌 바 있다. 주가는 연초 대비 50% 넘게 오른 상태다.

한편 이날 아시아 증시 주요 주가지수는 동반 상승했다.

중국 본토의 상하이종합지수(+0.11%)와 상하이·선전증시 시가총액 상위 300개 종목으로 구성된 CSI 300 지수(+0.27%)는 상승 마감했다.

한국시간 오후 4시 7분 기준 홍콩 항셍지수는 2.09%, 홍콩에 상장된 중국 본토 기업들로 구성된 홍콩H지수(HSCEI)는 2.34% 오른 상태다.

인공지능(AI) 신모델을 내놓은 중국 최대 검색 포털 업체 바이두 주가도 이날 홍콩 증시에서 11.9% 오른 상태다.

일본 닛케이225 평균주가(닛케이·+1.20%)를 비롯해 코스피(+0.06%)와 대만 자취안 지수(+0.69%)도 올랐다.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가 일본 종합상사 5곳의 주식을 추가 매입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미쓰이물산(+3.08%)·미쓰비시상사(+3.61%)·마루베니(+3.53%)·스미토모상사(+3.22%)·이토추상사(+2.45%) 등 이들 기업 주가도 3% 넘게 올랐다.

전날 미 증시에서 버크셔 해서웨이 주가는 신고가를 새로 썼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댓글이 5 개 있습니다.

  • 5 0
    아시아 퍼스트

    미래는 확실하게 아시아가 중심이 된다

  • 7 1
    전기차 - 배터리 - 자율주행

    이미 - 전기차는 비야디가 세계 1위

    멍청한 조센징 트럼프놈 모르냐?
    필요하면 빅딜로 미국 전기 자동차 중국에게 개방할수도 있어

  • 10 1
    장본붕

    이제 중국이 항문국 기술을 아주 멀리 제쳤구나. 항문국 똥구멍 찢어지게 쫓아도 못쫏차갈정도로 기술이 벌어졌는데 아직도 도둑질 타령하는 머저리들이 있구먼! 항문국의 기적은 베끼기 기술이었는데 이마저 중국에게 완전하게 추월당했군. 이제 먹고 살기 힘들어졌네. 후진국의 나락으로 떨어뜨린 윤돼지를 쳐죽여야 이 나라가 산다.

  • 1 0
    ㅋㅋㅋ

    빈살만 밥줄 끊어질라

  • 1 4
    기술도둑

    저거 다 우리기술이다
    중국이 훔쳐간 거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