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기업 체감경기, 내수 침체로 8개월 만에 최악
수출은 호조 보이나 내수 침체 악화
10월 기업 체감 경기가 8개월 만에 최악으로 급랭했다.
26일 한국은행의 '10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전산업 업황 BSI는 전월보다 3포인트 하락한 70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2월(69) 이후 8개월 만에 최저치다.
전산업 업황 BSI는 7∼8월 두 달 연속 하락하다가 9월 반등했으나 한달만에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10월 제조업 업황 BSI는 전월보다 1p 오른 69로 집계됐다. 제조업 업황 BSI는 9∼10월 두 달 연속 상승했다.
중국경기 개선 기대에 화학물질·제품(+10p)은 에틸렌스프레드 확대, 원자재 가격 하락, 중국의 화학제품 수요 증가 기대 등으로 크게 올랐다. 1차금속(+12p)도 중국 철강생산 감산, 부동산 부양책 등으로 인한 제품가격 상승 가능성이 반영돼 체감 경기가 개선됐다.
제조업 업황 BSI를 기업규모·형태별로 보면 대기업(+2p)과 중소기업(+1p), 수출기업(+6p)은 상승했다.
그러나 내수 침체 심화로 내수기업(-2p)은 내렸다.
특히 10월 비제조업 업황 BSI(71)는 전월 대비 6p 내렸다.
지난 1월(71) 이후 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며 월간 하락 폭 역시 지난 2020년 3월(-11p) 이후 3년 7개월 만에 가장 컸다.
비제조업 중에서는 경기 둔화로 인한 내수 침체·수요감소 영향으로 도소매업(-8p) 업황이 악화했다.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서비스업(-12p)과 정보통신업(-6p) 지수도 하락했다.
건설업(-4p) 역시 원자재 가격 상승, 건설경기 부진으로 체감 경기가 나빠졌다.
11월 전산업 업황에 대한 전망 BSI(69)는 전월보다 4p 내렸다. 제조업(69)이 2p 올랐지만, 비제조업(69)이 8p 급락한 영향이다.
BSI에 소비자동향지수(CSI)를 반영한 10월 경제심리지수(ESI)도 전월보다 0.9p 내린 91.8을 기록했다.
26일 한국은행의 '10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전산업 업황 BSI는 전월보다 3포인트 하락한 70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2월(69) 이후 8개월 만에 최저치다.
전산업 업황 BSI는 7∼8월 두 달 연속 하락하다가 9월 반등했으나 한달만에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10월 제조업 업황 BSI는 전월보다 1p 오른 69로 집계됐다. 제조업 업황 BSI는 9∼10월 두 달 연속 상승했다.
중국경기 개선 기대에 화학물질·제품(+10p)은 에틸렌스프레드 확대, 원자재 가격 하락, 중국의 화학제품 수요 증가 기대 등으로 크게 올랐다. 1차금속(+12p)도 중국 철강생산 감산, 부동산 부양책 등으로 인한 제품가격 상승 가능성이 반영돼 체감 경기가 개선됐다.
제조업 업황 BSI를 기업규모·형태별로 보면 대기업(+2p)과 중소기업(+1p), 수출기업(+6p)은 상승했다.
그러나 내수 침체 심화로 내수기업(-2p)은 내렸다.
특히 10월 비제조업 업황 BSI(71)는 전월 대비 6p 내렸다.
지난 1월(71) 이후 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며 월간 하락 폭 역시 지난 2020년 3월(-11p) 이후 3년 7개월 만에 가장 컸다.
비제조업 중에서는 경기 둔화로 인한 내수 침체·수요감소 영향으로 도소매업(-8p) 업황이 악화했다.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서비스업(-12p)과 정보통신업(-6p) 지수도 하락했다.
건설업(-4p) 역시 원자재 가격 상승, 건설경기 부진으로 체감 경기가 나빠졌다.
11월 전산업 업황에 대한 전망 BSI(69)는 전월보다 4p 내렸다. 제조업(69)이 2p 올랐지만, 비제조업(69)이 8p 급락한 영향이다.
BSI에 소비자동향지수(CSI)를 반영한 10월 경제심리지수(ESI)도 전월보다 0.9p 내린 91.8을 기록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