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의 "기업 자금사정 6개월후에나 소폭 개선될 것"
"콜금리 동결 등 금리안정 유도 및 신용대출 늘려야"
최근 시중 유동성이 풍부한데도 불구하고 기업들의 자금난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기업들의 어려운 자금 사정이 6개월 후에나 소폭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5일 대한상의에 따르면 최근 전국 제조업체 3백개사를 대상으로 '기업 자금사정과 전망'을 조사를 통해, 현재와 비교한 6개월 후의 자금 사정을 5점 척도로 물은 결과 보통(3.0점)보다 높은 평균 3.24점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이같은 전망에 대해 '매출호조'(85.7%), '원활한 자금회수'(10.7%), '금융권 대출여건 개선'(2.4%), '주식, 회사채 발행 원활'(1.2%) 등이 주 원인이 될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6개월 전과 비교한 현재 자금사정'에 대해서는 보통보다 낮은 평균 2.84점으로 나타났다.
한편 기업들은 현재 직면한 가장 큰 금융관련 애로요인으로 '환율불안 지속'(41.0%)을 꼽았고, 다음으로 '정책금리 인상'(35.9%), '담보위주 대출관행'(17.1%), '어려운 신용보증기관 이용여건'(5.6%) 등을 답했다.
금융기관의 이용여건에 대해서 기업들은 대출금리, 담보요구 정도 등에 대해서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개선노력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기관 이용여건을 부문별로 조사해본 결과, 대출상환기간과 대출규모는 각각 3.16점과 3.03점으로 보통이상인 반면 대출 금리와 담보요구 정도에 대해서는 각각 2.55점과 2.82점 등으로 보통이하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자금조달 여건 개선을 위해 금리인하, 신용대출 확대 등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기업의 자금조달 여건 개선을 위해 정부가 역점을 두어야 할 정책목표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절반가량의 기업들은 '금리의 대폭 인하'(50.0%)를 지적했고, 이외에 '신용대출 확대'(23.9%), '정책자금 지원확대'(20.8%), '신용보증 지원확대'(4.2%) 등을 꼽았다.
대한상의는 "시중에 자금이 풍부한데도 자금난을 겪고 있는 기업들이 금융기관을 통해 원활하게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콜금리 동결 등을 통해 금리안정을 유도하고 신용대출을 늘려야 한다"고 제안했다.
5일 대한상의에 따르면 최근 전국 제조업체 3백개사를 대상으로 '기업 자금사정과 전망'을 조사를 통해, 현재와 비교한 6개월 후의 자금 사정을 5점 척도로 물은 결과 보통(3.0점)보다 높은 평균 3.24점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이같은 전망에 대해 '매출호조'(85.7%), '원활한 자금회수'(10.7%), '금융권 대출여건 개선'(2.4%), '주식, 회사채 발행 원활'(1.2%) 등이 주 원인이 될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6개월 전과 비교한 현재 자금사정'에 대해서는 보통보다 낮은 평균 2.84점으로 나타났다.
한편 기업들은 현재 직면한 가장 큰 금융관련 애로요인으로 '환율불안 지속'(41.0%)을 꼽았고, 다음으로 '정책금리 인상'(35.9%), '담보위주 대출관행'(17.1%), '어려운 신용보증기관 이용여건'(5.6%) 등을 답했다.
금융기관의 이용여건에 대해서 기업들은 대출금리, 담보요구 정도 등에 대해서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개선노력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기관 이용여건을 부문별로 조사해본 결과, 대출상환기간과 대출규모는 각각 3.16점과 3.03점으로 보통이상인 반면 대출 금리와 담보요구 정도에 대해서는 각각 2.55점과 2.82점 등으로 보통이하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자금조달 여건 개선을 위해 금리인하, 신용대출 확대 등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기업의 자금조달 여건 개선을 위해 정부가 역점을 두어야 할 정책목표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절반가량의 기업들은 '금리의 대폭 인하'(50.0%)를 지적했고, 이외에 '신용대출 확대'(23.9%), '정책자금 지원확대'(20.8%), '신용보증 지원확대'(4.2%) 등을 꼽았다.
대한상의는 "시중에 자금이 풍부한데도 자금난을 겪고 있는 기업들이 금융기관을 통해 원활하게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콜금리 동결 등을 통해 금리안정을 유도하고 신용대출을 늘려야 한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