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여당, '오염수'→'오염 처리수' 잠정합의
수협 "처리수라 부르겠다"에 국힘 "오염 처리수로 하겠다"
노동진 수협중앙회장은 30일 국회에서 가진 국민의힘과의 '수협·급식업계 간 수산물소비 상생 협약식' 협약식에서 "이 시간 이후로 모든 우리 어업인은 '오염수'에서 '처리수'로 명칭을 변경하겠다"고 밝혔다. '처리수'는 일본정부가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명칭이다.
그러면서 "과학적으로 증명된 '다핵종(多核種) 제거설비'(ALPS)로 정화돼서 나가는 물을 자꾸 오염수, 오염수 하니까 여기에 대한 거부반응이 있는 것"이라며 "국민들을 호도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우리바다지키기 검증 TF 위원장인 성일종 의원도 협약식후 기자들과 만나 "'오염 처리수'가 맞는다"며 "정치 공세를 위해 오염수라 부르고, 핵 폐수라 부르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위원장인 내가 썼으니까 이미 우리는 공식화했다고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유상범 수석대변인도 기자들과 만나 "이제 오염 처리수로 공식화해야 한다"며 "오염 처리수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에서 쓰는 공식 용어"라고 말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도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종합정책질의에 출석해 안병길 국민의힘 의원이 '수협 회장은 후쿠시마 처리수라고 부르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정부에서 용어 문제를 짚고 넘어가야 한다'고 하자 "검토해보겠다"고 전향적 답을 했다.
한 총리는 "마치 '오염수가 방류되고 있다. 핵폭탄과 같다'는 논리는 전혀 안 맞는 것"이라며 "오염수가 방류되는 것이 아니라 과학적 기준에 의해서 처리된 그 오염수가 방류되는 것이다. 국제원자력기구가 이야기하는 ALPS를 거쳐서 처리된 오염수. 저는 이것이 과학적으로 맞는 표현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