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도적 찬성 여론에 한나라당 "기왕 정상회담하기로 했으니..."
강재섭 "이미 화살 시위 떠났으니 자꾸 반대만 얘기하긴 보단..."
한나라당이 9일 남북정상회담과 관련, "기왕 하기로 한 이상 국민이 납득할 만한 실질적 성과를 거둬야 한다"며 전날의 강력반대에서 일보 후퇴한 모양새를 보였다. 여론조사 결과, 국민의 압도적 다수가 남북정상회담에 찬성한다는 입장을 보인 데 따른 입장 변화로 풀이된다.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대표실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원래 우리 한나라당은 임기말 대통령이 정상회담을 하는 것은 국익을 훼손할 우려가 있어 반대한다는 입장"이라며 "하지만 이미 정상회담을 하기로 합의한 이상, 이미 화살이 시위를 떠났기 때문에 자꾸 반대만 얘기하는 것보다 반드시 이러이러한 내용의 포함되는 정상회담이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고 말했다.
그는 "한반도 비핵화 문제가 의제의 초점이 되어야 한다"며 "북핵이 완전히 폐기되지 않은 가운데 섣부른 평화선언이나 종전협정 체결 등의 허황된 얘기가 밀실에서 함부로 이뤄져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김형오 원내대표도 "시기와 장소, 절차상 문제에도 불구하고 중요한 정상회담을 개최키로 한 이상, 노무현 대통령은 이번 회담에서 북핵의 완전한 폐기를 이끌어 내야 한다"며 "평화체제 구축문제의 1단계는 북핵의 폐기이고 그 후 군축협상을 구체화해 평화선언과 종전협정으로 나가는 2단계 전략적 로드맵에 딸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노무현 대통령은 1단계 역할에 총력을 기울어야 하고, 2단계는 차기 대통령에게 맡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형근 최고위원은 "이번 정상회담은 올해 초 개헌발의처럼 정략적 요소가 다분하지만 1백% 정략적이라고 해서 정상회담을 하지 말라는 것도 정략적으로 보이는 것이 현실"이라며 "이번 회담이 김정일에게 이용되지 않고, 정치적으로 악용되지 않도록 바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북핵 폐기가 정상간 공식의제로 다뤄질 가능성은 매우 낮아 보인다. 사실 의제도 못 정하고 정상회담을 발표, 북한의 평화공세에 들러리를 서지 않을까 걱정, 우려된다"며 "또 임기말 정상회담이 갖고 올 정치적 부담을 알고도 밀어붙인 점을 볼 때 북한에 많은 것을 약속할 수밖에 없는 처지로, 노무현 대통령에겐 광이 나겠지만 차기 대통령에겐 족쇄가 될 것"이라고 우려를 표시했다. 그는 "이럼에도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정착에 기여하고 북한의 개혁개방에 정상회담이 이바지 한다면, 그 의의를 높게 평가해 줄 용의가 있다"고 덧붙였다.
권영세 최고위원은 "임기말 정상회담을 추진했던 클린턴의 사례에서 봤듯이 회담추진 자체를 비난할 수는 없고, 진전만 이룰 수 있다면 얼마든 환영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며 "정치적 흥행거리를 만들기 위한 것이라면 국민들과 역사가 가만히 놔두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반드시 실질적 결과물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남북문제에 있어 초기단계에선 밀행성이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할 것"이라며 "그러나 앞으로 의제선정이나 기타 절차 부분은 최대한 투명하게 진행되어야 하고, 정상회담 문제로 모든 시선이 몰려 있는데 아프간 사태 해결에도 최대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대표실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원래 우리 한나라당은 임기말 대통령이 정상회담을 하는 것은 국익을 훼손할 우려가 있어 반대한다는 입장"이라며 "하지만 이미 정상회담을 하기로 합의한 이상, 이미 화살이 시위를 떠났기 때문에 자꾸 반대만 얘기하는 것보다 반드시 이러이러한 내용의 포함되는 정상회담이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고 말했다.
그는 "한반도 비핵화 문제가 의제의 초점이 되어야 한다"며 "북핵이 완전히 폐기되지 않은 가운데 섣부른 평화선언이나 종전협정 체결 등의 허황된 얘기가 밀실에서 함부로 이뤄져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김형오 원내대표도 "시기와 장소, 절차상 문제에도 불구하고 중요한 정상회담을 개최키로 한 이상, 노무현 대통령은 이번 회담에서 북핵의 완전한 폐기를 이끌어 내야 한다"며 "평화체제 구축문제의 1단계는 북핵의 폐기이고 그 후 군축협상을 구체화해 평화선언과 종전협정으로 나가는 2단계 전략적 로드맵에 딸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노무현 대통령은 1단계 역할에 총력을 기울어야 하고, 2단계는 차기 대통령에게 맡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형근 최고위원은 "이번 정상회담은 올해 초 개헌발의처럼 정략적 요소가 다분하지만 1백% 정략적이라고 해서 정상회담을 하지 말라는 것도 정략적으로 보이는 것이 현실"이라며 "이번 회담이 김정일에게 이용되지 않고, 정치적으로 악용되지 않도록 바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북핵 폐기가 정상간 공식의제로 다뤄질 가능성은 매우 낮아 보인다. 사실 의제도 못 정하고 정상회담을 발표, 북한의 평화공세에 들러리를 서지 않을까 걱정, 우려된다"며 "또 임기말 정상회담이 갖고 올 정치적 부담을 알고도 밀어붙인 점을 볼 때 북한에 많은 것을 약속할 수밖에 없는 처지로, 노무현 대통령에겐 광이 나겠지만 차기 대통령에겐 족쇄가 될 것"이라고 우려를 표시했다. 그는 "이럼에도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정착에 기여하고 북한의 개혁개방에 정상회담이 이바지 한다면, 그 의의를 높게 평가해 줄 용의가 있다"고 덧붙였다.
권영세 최고위원은 "임기말 정상회담을 추진했던 클린턴의 사례에서 봤듯이 회담추진 자체를 비난할 수는 없고, 진전만 이룰 수 있다면 얼마든 환영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며 "정치적 흥행거리를 만들기 위한 것이라면 국민들과 역사가 가만히 놔두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반드시 실질적 결과물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남북문제에 있어 초기단계에선 밀행성이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할 것"이라며 "그러나 앞으로 의제선정이나 기타 절차 부분은 최대한 투명하게 진행되어야 하고, 정상회담 문제로 모든 시선이 몰려 있는데 아프간 사태 해결에도 최대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