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베이징올림픽 '외교적 보이콧' 강행
영국, 캐나다, 호주 등도 동참 움직임. 정전선언 시도 물거품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6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바이든 정부는 신장에서 중국의 지속적인 종족 학살과 반인도적 범죄, 기타 인권 유린을 감안해 어떤 외교적, 공식적 대표단도 베이징 올림픽과 패럴림픽에 보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인권 증진에 대한 근본적인 약속을 하고 있다"며 "우리는 중국과 그 너머에서 인권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를 계속 취할 것"이라며 인권 개선을 압박했다.
외교적 보이콧이란 선수단을 파견하되 개·폐회식 등 행사 때 정부 사절단을 보내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앞서 미국 의회에서도 중국 신장 지구의 위구르 소수민족 탄압, 홍콩의 인권 탄압 등을 문제 삼아 베이징 올림픽을 보이콧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날 외교적 보이콧 방침은 바이든 대통령이 오는 9∼10일 약 110개국과 함께 '민주주의 정상회의' 개최를 앞두고 발표된 것이어서, 서방 진영의 연쇄 동참 여부가 주목된다.
현재 영국, 캐나다, 호주가 외교적 보이콧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와 관련, 사키 대변인은 "미국이 동맹들에 외교적 보이콧 결정 사실을 알렸지만, 그들의 보이콧 여부는 그들에게 달려 있다"고 밝혔다.
앞서 자오리젠(趙立堅)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스포츠 정치화를 그만두고 이른바 '외교적 보이콧'을 중지함으로써 중·미 관계의 중요 영역에서의 대화와 협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만약 미국이 독단적으로 행동한다면 중국은 반드시 반격하는 조치를 결연하게 취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미국의 외교적 보이콧으로 베이징올림픽 개막식에서 정전선언 도출을 위해 동분서주해온 문재인 정부는 결정적 장애를 만난 모양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