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년 "LH특검, 의원-단체장-지방의원 성역없이 하겠다"
"의원 전수조사, 새 기구 설치하거나 현존기관서 할 수 있어"
김 대행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우리당의 특검 제안과 국회의원, 선출직 공직자 및 직계존비속의 부동산 전수조사를 수용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주 원내대표의 국정조사 제안을 수용하고 여야 수석부대표 협의를 바로 진행하겠다"며 "여야 협의를 통해 국회가 부동산 적폐 청산에 주도적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검 수사 범위에 대해선 "야당과 협의를 통해 수사 범위를 확정하겠다"며 "국회의원과 단체장, 지방의원 등으로 한다든지 전국의 공공 택지개발 지구를 한다든지 협의해보겠다"고 밝혔다.
'청와대도 특검 수사 대상에 포함되느냐'는 질문에 대해선 "만약 지역을 중심으로 수사를 하다 보면 누가 들어가고 누군 빠지는데, 그와 같은 성역은 없다"면서 "청와대도 전수조사했다고 하고 국회 검증도 필요시 할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고 답했다.
그는 LH 특검 합의에 대한 경찰의 반발과 관련해선 "특수본에서 불법 투기는 충분히 다 규명할 수 있다고 보지만 국민적 신뢰를 더 많이 확보하기 위해 특검을 제안했던 것"이라며 "특검 수사단이 구성되기까지 적어도 한 달 정도 소요될 텐데 그전까지 특수본이 더 고강도 수사를 하고 그 결과물을 특검으로 이첩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회의원 전수조사 담당기관에 대해선 "가장 중립적이고 객관적이면서도 능력이 있는 기구를 설치하거나 현재 존재하는 기관에서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야당이 요구하는 감사원 감사도 수용 가능성을 열어놓은 셈이다.
그는 민주당 자체조사 현황에 대해선 "언론에서 의혹을 제기했던 의원들 관련 부분을 더 세밀하게 들여다보고 대면조사까지도 하고 있다"며 "오히려 전수조사를 야당에서 수용했기 때문에 자체조사보다 더 강도높은 조사가 이뤄지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다.
그는 그러나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제안한 LH투기 국정조사에 대해선 "통상 국정조사를 하면 국회에 출석 시켜야하고 수사 대상자들을 소환해야 하는 등 제한이 있다"며 "야당이 제안해서 수용하고 적극 협의하겠지만 실효성 확보 방안은 더 깊은 고민이 필요하다"고 즉답을 피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