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먼저 맞으라고 유승민 국민의힘 전 의원이 주장한 데 대해 '국가원수가 실험대상이냐'고 강변하자, '그러면 국민은 실험대상이냐'고 야권이 융단폭격을 퍼부었다.
박대출 국민의힘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정 의원 발언에 대해 “'국민이 실험대상이냐'는 분노가 쏟아지는 건 당연한 일"이라며 "결국 과잉 충성이 ‘백신 불신론’을 더 키웠다"고 비꼬았다.
그러면서 "국정의 최고 책임자인 대통령이 솔선수범해서 백신을 맞으면 국민에게 안도감을 줄 수 있다는 생각은 왜 안 하는지 답답하다"라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물론이고 많은 외국 정상들이 백신 접종에 왜 앞장섰겠나"라고 힐난했다.
그는 "대통령부터 접종하란 요구가 ‘국가원수 모독’이라면, 국민부터 접종하라는 건 ‘국민 모독’이다. ‘가붕개’들은 군소리 말고 백신 맞으라는 얘기인가. 백신 마루타는 국민인가? 대통령인가?"라고 반문한 뒤, "선택은 대통령의 몫"이라고 문 대통령을 압박했다.
김웅 국민의힘 의원 역시 페이스북을 통해 "살다가 국민을 백신 기미상궁으로 쓰자는 말은 처음 듣네요"라며 "이제 국민의 4대 의무 외에 대통령을 위해 백신마루타가 되야 할 의무도 포함될 것 같다"라고 비꼬았다.
하태경 의원도 "정의원 발언 듣고 누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맞으려 하겠나"라며 "대통령 돕는다면서 부담만 더 준 것이다. 대통령이 못 맞을 백신이라면 국민에게도 맞히면 안 된다"고 일침을 가했다.
김용태 전 국민의힘 의원도 페이스북에서 "정청래씨, 대통령보고 백신 주사를 먼저 맞으라는 것이 망언이고 조롱이라고요? 대통령 신년 기자회견에서 ‘백신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먼저 백신을 접종할 생각이 있냐’는 질문에 ‘필요한 상황이 된다면 피하지 않겠다’라고 대통령께서 직접 답변하셨다"며 "백신 불신을 잠재우기 위해 말 그대로 대통령께서 먼저 맞을 수도 있는 것 아닌가요? 이게 무슨 조롱입니까?"라고 몰아붙였다.
그는 "그렇다면 정씨는 국민이 솔선수범해 백신 접종하고, 안전이 검증되면 대통령께서 맞아야 한다는 말씀인가요?"라고 반문한 뒤, "정씨 논리대로라면 국민이 무슨 실험대상인가. 이런 사고방식이야말로 국민을 모독하는 한심한 처사"라고 질타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도 22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정부가 허락한다면 정치인으로서, 또 의료인의 한사람으로서 먼저 AZ(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을 용의가 있다"며 우회적으로 정 의원에게 일침을 가했다.
파문이 확산되자 정청래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대통령은 일단 대상도 아니다"라며 "유승민씨에게 제안한다. 그렇게 국민건강이 걱정되면 당신과 내가 먼저 백신접종을 맞자. 우리 두사람도 우선 접종대상은 아니지만 국민들께서 허락한다면 둘이 모범을 보이자. 그렇게 불안하고 걱정되시면 용기를 내시라"고 역제안했다.
그러면서 "나는 언감생심 '국민이 실험용인가?'라는 말을 꺼낸적도 없고 상상한 적도 없다"며 "이런 살벌한 말을 발설한 것은 국민의힘 김용태씨다. 이런 반국민적 발언에 응당한 책임을 지고 사과해야 할 것이다. 참 국민의짐스럽다"며 김용태 전 의원을 비난했다.
이에 대해 김용태 전 의원은 즉각 페이스북을 통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대통령이 먼저 맞아야 불신을 없앨 수 있다'는 유 전 의원의 주장은 백신 접종에 대해 국민적 불안감이 높아지니 해외 정상들도 대부분 그랬듯 국민적 불안감을 해소하자는 상식적 주장"이라며 "여기에 발끈해 '국가원수가 실험대상인가'라고 질문하며 본질을 흐린 것은 정청래 씨 당신이 아닌가"라고 맞받았다.
그러면서 "정청래 씨의 접종에 관심을 갖는 사람은 없다. 정 씨는 유 전 의원 운운하기 이전에 접종 순서에 따라 저와 같이 맞으면 될 것"이라고 비꼬았다
아스트라 백신을 1호로 대통령께서 주사맞는것 아주 좋은 생각인듯합니다. 아스트라가 안정성 최고로 좋은것인데 기레기와 꼴통들은 안정성에 마치 문제가있는것처럼 부풀리고 거짓 선동하고 참으로 어의가없습니다. 이게 나라인지 옛부터 큰 일에는 모두가 하나가 되어야하는데 마치 나라가 잘못되길 바라는것처럼 난리네요. 1호가 시험대상 아닌 존경의 대상이 되어주세요.
이론물리학 논문<새로운 파이 중간자(소립자)의 발견에 관하여>와 논문<특수상대론은 틀렸는가?> 부제) 광속도 가변(가감)의 원리 는 교토대학 유카와 이론물리 연구소에 일본어로 번역해서 1998년에 국제우편으로 보냈죠! 이때 1998년에 유카와 이론물리 연구소의 소장은 2008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마스카와 도시히데였죠!
아인슈타인은 만년에 특수상대론이 틀렸다고 고백(특수상대론은 신기루라고 고백)했다고 시립도서관에 있던 독일인이 쓴 책에서 읽었죠! 아인슈타인이 빛을 뒤쫓아서 빛의 속도와 같아진다고 할 때 아인슈타인이 질량을 가지고 있으므로 광속도와 같아질 수 없죠!!!(2009년에 발견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