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리얼미터] "2차지원금 선별지급" 49.3% vs "전국민 지급" 45.8%

2차 지원금 지급에는 찬성 여론이 높아

당정청이 2차 긴급재난지원금 선별지급 방침을 확정한 가운데 선별지급과 전국민 지급을 놓고 찬반 여론이 팽팽한 것으로 조사됐다.

8일 <리얼미터>에 따르면, YTN <더뉴스> 의뢰로 지난 7일 전국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차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에 대해 ‘찬성’ 60.3%, ‘반대’ 33.3%, ‘잘 모름’ 6.4%으로 찬성 여론이 높았다.

지급 방식에 대해선 ‘선별적 지급’ 49.3%, ‘전 국민 지급’ 45.8%로 오차범위 내에서 팽팽했다. ‘잘 모름’은 4.9%였다.

권역별로 서울(선별적 지급 48.6% vs. 전 국민 지급 49.6%)과 경기·인천(46.5% vs. 48.5%) 등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가 시행중인 수도권에서는 ‘선별적 지급’ 응답과 ‘전 국민 지급’ 응답이 비등했다.

대전·세종·충청(57.4% vs. 40.3%)과 대구·경북(53.8% vs. 41.2%), 부산·울산·경남(52.0% vs. 41.9%), 광주·전라(49.5% vs. 39.5%)에서는 ‘선별적 지급’ 응답이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20대(선별적 지급 63.0% vs. 35.0%)와 60대(53.7% vs. 36.7%)에서는 ‘선별적 지급’ 응답이 많았지만, 40대(45.2% vs. 54.8%)와 50대(42.0% vs. 54.6%)에서는 ‘전 국민 지급’ 응답이 많았다. 30대(48.3% vs. 46.0%)와 70세 이상(43.7% vs. 43.9%)에서는 두 응답이 비등했다.

이번 조사는 무선(80%)·유선(20%) 무작위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실시했고 9.0%의 응답률에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포인트다.
이영섭 기자

댓글이 8 개 있습니다.

  • 0 0
    차별을부른다

    20대가 선별을 많이 주장한다고? 20대가 많이 보수화 되었지.
    그들의 아버지 세대 50대와 바로 밑 40대는 전국민 지급이 많았다.
    50대 등골 빼먹는게 20대다. 아직 철들지 못한 세대. 왜 20대 일베가 많은가?
    20대가 대깨문일리가 없는데 선별 많은 것을 보니 미래가 어두워 보인다.
    선별은 시간도 많이 걸리고 차별을 불러 오는게 많다.

  • 1 0
    다스뵈이다65-소득주도성장 효과있다

    ,GDP대비 40% 국가부채유지는 근거없고
    유럽은 GDP의 60-80%의 국가부채를 유지한다.
    한국은행은 한국국가부채가 35.9%로 발표했으므로
    국가부채45%까지 유지한다면 170조 추경여력이 있다.

  • 1 0
    존 메이너드 케인스의 조언

    [정치-경제학자의 사상의 영향력은 옳건 그르건 간에
    흔히 생각하는 것보다 강력하다
    어떠한 영향력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롭다고 믿고 있는
    사람이 있다면 대개는 죽은 경제학자의 노예들이다]

    죽은경제학자의 노예가 되지 말고..자본주의의 전환기에
    더욱 구체적인 미래비전의 제시와 함께 소비와 투자(=유효수요)
    확보위한 정부의 공공지출(적자재정)을 말함

  • 2 0
    다스뵈이다 119-최배근 교수01

    세금감면하는것보다 정부가 지출(재난지원금)증가 하여 국민소득증가
    시키는것이 소득이 늘어날때 소비가 증가되는 비율인
    한계소비성향 증가에 의한 국민소득증가효과(=정부지출 승수효과)가
    더커지고 경제주체인 가계-기업-정부의 총구매력수요(=유효수요)도 증가
    하므로
    재벌세금감면보다는 정부가 국민에게 직접주는 재난지원금지원을
    기본소득정책화 해야한다..

  • 1 0
    2014-OECD 포용적성장론 발표

    신자유주의의 첨병을 자임했던 국제기구조차 2008 경제위기
    이후 자본주의의 지속가능성은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잡고
    소득과 분배의 불균형문제를 해결하는 데서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2014 발표된 OECD의 '포용적 성장론'의 내용은
    -최저임금도입(최저임금인상)
    -공공부문의 일자리 확대
    -노동시간 단축
    -확장재정(=적자재정)정책..이다..

  • 1 0
    다스뵈이다124-최배근교수-재난지원금

    을 2020말까지 3번을 추가 해야한다
    박근혜때 최경환 기재부장관이 GDP올랐다는 뉴스만들려고
    묻지마 부동산대출남발 했는데 부동산거래대금이 은행계좌의 숫자로만
    돌고 있어서 GDP상승은 허상이었지만
    한국은행발표 2020 2분기 경제성장률에서는
    세계적인 코로나불경기로 수출이 감소한것을
    재난지원금(=내수증가=실질경기상승)이 보충하고 있으므로

  • 1 0
    재정 승수를 둘러싼 오해와 진실

    https://www.vop.co.kr/A00001510533.html
    1-불황중에서도 재정지출이 늘어나는 불황기에
    저금리조건에서 채무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을수록
    재정승수는 더크다
    2-현시점의 정책환경을 반영하지 않은 재정승수 평균값을
    정책효과 예측근거로 삼을 수는 없다
    3-적극적인 확장재정으로 경제위기를 돌파해 나가야 한다

  • 1 0
    소득 늘어날때 소비가 증가 하는비율이

    한계소비성향 b이고
    경제주체인 가계-기업-정부는 소비자인 동시에 공급자이므로
    정부지출1억으로 재난소득주고 어떤국민들이 소비할때
    어떤국민들은 상품팔아 수익이 생겨서 이것을 다시 소비하는데
    한계소비성향 b를 0.5로 가정할때 등비급수의 합은
    a(정부지출1억) / 1-r(등비=b)이므로 정부지출1억에 2억소득이
    생기는것이 승수효과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