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감정원 통계도 文정부 들어 서울아파트 54.7% 폭등"
김상훈 의원, 한국감정원 자료로 김현미 장관 맹성토
4일 김상훈 미래통합당 의원(대구 서구)이 한국감정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1평당 평균 시세는 2017년 5월 1천731만원에서 2020년 7월 2천678만원으로 54.7% 올랐다. 25개 자치구 모두 상승했고, 1평당 2천만원이 넘는 자치구가 17개나 됐다.
김현미 국토교통부장관은 지난달 23일 국회 본회의 대정부질문에서 서울아파트값이 52.7% 폭등했다는 주장에 대해 한국감정원 통계에는 서울집값이 11% 올랐다고 반박했으나, 감정원 통계에서도 50%이상 폭등한 것으로 나타난 것. 김 의원이 제출받은 자료의 시세는 실거래사례 분석, 협력공인중개사의 자문, 기타 참고자료 활용 등을 통해 한국감정원이 직접 산정한 가격이다.
평당 평균 시세가 가장 많은 금액이 오른 자치구는 강남구로 2017년 5월 3천271만원에서 2020년 7월 4천999만원으로 1천728만원 올랐다. 서초구 역시 1천525만원(2천692만원 → 4천217만원) 상승했다. 지난해 기준 서울 근로자 평균 연봉이 4천124만원인 점을 감안할 때 1년치 급여를 한 푼도 쓰지 않아도 겨우 한 평을 살 수 있는 셈이다.
증가율로 보면, 성동구가 81%(1천853만원→3천354만원)로 가장 많이 올랐고, 서대문구 70.1%(1천333만원 → 2천268만원), 종로구 66.9%(1천760만원 → 2천938만원), 동대문구 66.1%(1천309만원 → 2천174만원), 강동구 66%(1천446만원 → 2천400만원) 순으로 올랐다.
김 의원은 “부동산 시장 전체를 투기로 간주해 규제로만 옥죈 부동산 정치의 결과”라며 “문 정부는 1주택 실수요자나 청년·신혼부부 무주택자들의 ‘내 집 마련’꿈을 짓밟았고, 주택소유자들에게는 ‘세금 폭탄’을 터뜨렸다”고 비난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