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하성 “사람은 일하는데 돈은 일하지 않아"
“지배구조 낙후로 증시에 돈 몰려들지 않아"
장하성 고려대 경영학과 교수는 31일 경제를 좀먹는 부동산에만 돈이 몰리고 연기금들은 채권시장만 교란하고 있다며 주식투자 유도를 위한 기업의 적극적 노력을 촉구했다.
장 교수는 이날 서울 하얏트 호텔에서 열린 세계경영연구원(IGM) 월례포럼에서 “우리 기업들의 대차대조표를 보면 자본은 주식으로 조달한 자기자본이거나 남에게 빌린 부채이다. 부채로 경제가 성장하는 건 지금까지는 그래왔지만 이제는 상상할 수 없다”며 “부채자본주의가 우리나라만큼 횡행한 나라가 없다. 우리나라는 주주자본을 경시하는 게 당연시되어있다. 더 답답한 건 대체투자가 별로 없다는 것”이라고 부채를 통한 경제성장 흐름을 비판했다.
그는 “그래서 경제를 좀먹는 부동산으로 자본이 가고 있다. 심지어는 우리국민들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국민연금마저도 주식투자를 안 한다. 그래서 채권시장만 교란시키고 있다”며 “주식투자를 하면 투기꾼 취급을 하며 외국인이 투자를 하면 욕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면 기업가치 회복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장기투자를 할만한 여건을 기업이 만들어주어야 한다. <포브스>지의 월드뱅크에서 시행한 지배구조평가표를 보라. 우리 밑으로 중국 필리핀 베트남 정도밖에 없다”며 “기업의 가치평가에서는 기업이 지배구조의 투명성을 통해 얼마나 수익가치와 자산가치를 창출하느냐가 잣대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기업의 투명성 및 책임성과 관련된 지배구조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주식에 대한 투자 수요를 확대·증진하고, 공급 측면에서는 장기적인 투자여건을 기업이 만들어 주어야 한다”며 “한국 기업들의 디스카운트는 자본의 생산성이 지극히 떨어지는 데서 기인한다. 사람은 일하는데 돈은 일하지 않는 구조, 즉 노동생산성은 중시되는데 자본생산성은 무시되고 있는 게 한국 기업들의 문제점"이라고 지적했다.
장 교수는 이날 서울 하얏트 호텔에서 열린 세계경영연구원(IGM) 월례포럼에서 “우리 기업들의 대차대조표를 보면 자본은 주식으로 조달한 자기자본이거나 남에게 빌린 부채이다. 부채로 경제가 성장하는 건 지금까지는 그래왔지만 이제는 상상할 수 없다”며 “부채자본주의가 우리나라만큼 횡행한 나라가 없다. 우리나라는 주주자본을 경시하는 게 당연시되어있다. 더 답답한 건 대체투자가 별로 없다는 것”이라고 부채를 통한 경제성장 흐름을 비판했다.
그는 “그래서 경제를 좀먹는 부동산으로 자본이 가고 있다. 심지어는 우리국민들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국민연금마저도 주식투자를 안 한다. 그래서 채권시장만 교란시키고 있다”며 “주식투자를 하면 투기꾼 취급을 하며 외국인이 투자를 하면 욕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면 기업가치 회복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장기투자를 할만한 여건을 기업이 만들어주어야 한다. <포브스>지의 월드뱅크에서 시행한 지배구조평가표를 보라. 우리 밑으로 중국 필리핀 베트남 정도밖에 없다”며 “기업의 가치평가에서는 기업이 지배구조의 투명성을 통해 얼마나 수익가치와 자산가치를 창출하느냐가 잣대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기업의 투명성 및 책임성과 관련된 지배구조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주식에 대한 투자 수요를 확대·증진하고, 공급 측면에서는 장기적인 투자여건을 기업이 만들어 주어야 한다”며 “한국 기업들의 디스카운트는 자본의 생산성이 지극히 떨어지는 데서 기인한다. 사람은 일하는데 돈은 일하지 않는 구조, 즉 노동생산성은 중시되는데 자본생산성은 무시되고 있는 게 한국 기업들의 문제점"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