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김복동 할머니 별세에 한 목소리로 애도
"한일 위안부 합의 폐기하고 일본 정부 사과 받아내야"
여야는 29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김복동 할머님이 향년 93세의 나이로 별세한 데 대해 안타까움을 표하며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를 촉구했다.
이재정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김복동 할머님의 삶은 그 자체로 인권의 역사"라면서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와 배상이라는 평생의 한을 끝내 풀지 못한 채 눈을 감으시게 되어 너무나 안타까운 심정이다. 고 김복동 할머님의 명복을 빌며, 편안히 영면하시기를 간절히 기원한다"고 말했다.
윤영석 자유한국당 수석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죽기 전에 일본 아베 총리의 진심어린 사죄를 받고 싶다’ 하신 할머니의 한은 끝끝내 풀리지 않았다"며 "한국당은 더 늦기 전에 일본정부가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에 대한 진심어린 사죄와 대책마련에 나설 것을 거듭 촉구하며, 피해 할머니들의 아픔과 한을 풀어드리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 나갈 것을 다짐한다"고 밝혔다.
김삼화 바른미래당 수석대변인 역시 논평을 통해 "대한민국 인권운동가의 대모인, 김복동 할머니의 영면을 빈다"며 "이제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이 스물 세분 밖에 남지 않았다. 일본정부가 한일관계를 발전시키고 동반자가 되기를 바란다면, 지난 역사의 잘못을 반성하고 진정성 있는 사죄와 피해보상을 해야 한다. 문재인 대통령 또한 대선 당시 약속대로 한일 위안부 합의를 폐기하고 재협상을 통해 일본정부의 공식사과를 받아내는 성과를 거두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문정선 민주평화당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그녀의 삶이 곧 일본이 자행한 전쟁범죄의 기록이자 역사였다"면서 "아베정권의 정치적 도발이 극에 달한 상황으로 끝내 일본의 공식사과를 받지 못한 통한을 안고 눈을 감으셨다고 전해진다. 무엇보다 일본에 맞서는 결기와 지혜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최석 정의당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피해할머니들께 남아있는 시간이 많지 않음에도 일본군 성노예 피해 해결은 더디기만 하다. 죄송스러운 마음에 고개를 들 수 없다"며 "정부는 껍데기만 남은 위안부 졸속합의를 파기하고, 피해할머니들 보호에 적극 나서야 한다. 화해치유재단 해산 발표하고서도 후속조치가 미진하다. 일본과 적극 협의에 나서 10억 엔도 당장 반환할 것을 촉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재정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김복동 할머님의 삶은 그 자체로 인권의 역사"라면서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와 배상이라는 평생의 한을 끝내 풀지 못한 채 눈을 감으시게 되어 너무나 안타까운 심정이다. 고 김복동 할머님의 명복을 빌며, 편안히 영면하시기를 간절히 기원한다"고 말했다.
윤영석 자유한국당 수석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죽기 전에 일본 아베 총리의 진심어린 사죄를 받고 싶다’ 하신 할머니의 한은 끝끝내 풀리지 않았다"며 "한국당은 더 늦기 전에 일본정부가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에 대한 진심어린 사죄와 대책마련에 나설 것을 거듭 촉구하며, 피해 할머니들의 아픔과 한을 풀어드리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 나갈 것을 다짐한다"고 밝혔다.
김삼화 바른미래당 수석대변인 역시 논평을 통해 "대한민국 인권운동가의 대모인, 김복동 할머니의 영면을 빈다"며 "이제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이 스물 세분 밖에 남지 않았다. 일본정부가 한일관계를 발전시키고 동반자가 되기를 바란다면, 지난 역사의 잘못을 반성하고 진정성 있는 사죄와 피해보상을 해야 한다. 문재인 대통령 또한 대선 당시 약속대로 한일 위안부 합의를 폐기하고 재협상을 통해 일본정부의 공식사과를 받아내는 성과를 거두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문정선 민주평화당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그녀의 삶이 곧 일본이 자행한 전쟁범죄의 기록이자 역사였다"면서 "아베정권의 정치적 도발이 극에 달한 상황으로 끝내 일본의 공식사과를 받지 못한 통한을 안고 눈을 감으셨다고 전해진다. 무엇보다 일본에 맞서는 결기와 지혜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최석 정의당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피해할머니들께 남아있는 시간이 많지 않음에도 일본군 성노예 피해 해결은 더디기만 하다. 죄송스러운 마음에 고개를 들 수 없다"며 "정부는 껍데기만 남은 위안부 졸속합의를 파기하고, 피해할머니들 보호에 적극 나서야 한다. 화해치유재단 해산 발표하고서도 후속조치가 미진하다. 일본과 적극 협의에 나서 10억 엔도 당장 반환할 것을 촉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