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카오 금융당국 "北동결계좌 불법자금 없어"
2천4백만달러 전면 해제 초읽기
마카오 금융당국은 미국의 대북 금융제재로 방코델타아시아(BDA)에 동결된 북한 계좌와 관련, 이들 계좌가 불법자금이 아니라는 입장을 밝혀 북한의 동결계좌 전면해제를 강력 시사했다.
"쌍방이 각자 법 체계에 따라 조사해 결과 달라"
16일 <아사히(朝日)신문>에 따르면 마카오 정부 탄보위안(譚伯源) 경제재정관은 15일 기자회견을 통해 '북한 동결 계좌에 대한 우리측의 조사 결과 불법행위의 증거를 찾지 못했다"며, BDA에 대해 지난 15일 공식 조사결과 발표를 통해 자금세탁 의심이 강한 금융기관으로 결론 지은 미국 재무부의 결정에 “유감이다”라며 불만을 표시했다.
<아사히신문>은 탄 경제재정관의 발언이 북한이 그간 끈질기게 요구해온 동결자금의 전면적인 해제 가능성을 언급한 것이라며, 친강(秦剛) 중국 외교부 대변인도 정례 기자회견을 통해 '강한 유감의 뜻'을 밝힌 바 있다고 지적했다.
딩롄싱(丁連星) 마카오 금융관리국의 주석 역시 이 신문과의 회견을 통해 “미국이 주장하는 북한의 불법행위 증거가 제시되면 이를 토대로 가능한 빨리 북한 계좌의 동결 해제 여부를 처리하겠다”며 “미국과 마카오의 조사결과가 다른 점은 쌍방이 각자의 법 체계에 따라 조사했기 때문으로 일정한 조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신문은 마카오 정부가 15일 BDA를 관리하는 행정관리위원회의 임기를 연장한다고 발표해 계속 당국의 통제 하에 두기로 했다며, 마카오 정부는 미국의 조사 결과를 받아 분석하는 한편 중국 정부의 의향을 반영해 최종 판단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마카오 행정관리위원회는 지난 2005년 9월 미 재무성이 BDA에 대한 의혹을 지적한 직후 마카오 행정관의 특명위원회로 설치된 뒤 북한관련 계좌의 관리를 담당하고 있으며, 마카오정부는 그동안 두 차례에 걸쳐 행정관의 임기를 두 차례 연장해 왔지만, 연장기한이 최장 2년이라는 점에서, 늦어도 올해 9월까지 BDA 관련 처리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고 이 신문은 지적했다.
한편 미국 재무부의 대니얼 글레이저 부차관보는 BDA 조사결과를 통보하기 위해 이날 마카오로 출발했으며, 마카오 당국에 BDA의 불법활동 관련 증거를 제시하고 북한 동결자금 해제문제를 협의할 예정이어서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고 있다.
숀 매코맥 국무부 대변인은 15일 정례 브리핑을 통해 “재무부가 BDA에 대한 조사결과를 발표했으며, 이에 따라 마카오당국이 구체적인 조치에 대한 결정을 내릴 차례”라며 “글레이저 부차관보가 현지를 방문해 미 재무부측의 모든 조사 결과를 마카오측에 제공해 그들이 충분한 정보를 갖고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마카오 당국과 협의를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쌍방이 각자 법 체계에 따라 조사해 결과 달라"
16일 <아사히(朝日)신문>에 따르면 마카오 정부 탄보위안(譚伯源) 경제재정관은 15일 기자회견을 통해 '북한 동결 계좌에 대한 우리측의 조사 결과 불법행위의 증거를 찾지 못했다"며, BDA에 대해 지난 15일 공식 조사결과 발표를 통해 자금세탁 의심이 강한 금융기관으로 결론 지은 미국 재무부의 결정에 “유감이다”라며 불만을 표시했다.
<아사히신문>은 탄 경제재정관의 발언이 북한이 그간 끈질기게 요구해온 동결자금의 전면적인 해제 가능성을 언급한 것이라며, 친강(秦剛) 중국 외교부 대변인도 정례 기자회견을 통해 '강한 유감의 뜻'을 밝힌 바 있다고 지적했다.
딩롄싱(丁連星) 마카오 금융관리국의 주석 역시 이 신문과의 회견을 통해 “미국이 주장하는 북한의 불법행위 증거가 제시되면 이를 토대로 가능한 빨리 북한 계좌의 동결 해제 여부를 처리하겠다”며 “미국과 마카오의 조사결과가 다른 점은 쌍방이 각자의 법 체계에 따라 조사했기 때문으로 일정한 조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신문은 마카오 정부가 15일 BDA를 관리하는 행정관리위원회의 임기를 연장한다고 발표해 계속 당국의 통제 하에 두기로 했다며, 마카오 정부는 미국의 조사 결과를 받아 분석하는 한편 중국 정부의 의향을 반영해 최종 판단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마카오 행정관리위원회는 지난 2005년 9월 미 재무성이 BDA에 대한 의혹을 지적한 직후 마카오 행정관의 특명위원회로 설치된 뒤 북한관련 계좌의 관리를 담당하고 있으며, 마카오정부는 그동안 두 차례에 걸쳐 행정관의 임기를 두 차례 연장해 왔지만, 연장기한이 최장 2년이라는 점에서, 늦어도 올해 9월까지 BDA 관련 처리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고 이 신문은 지적했다.
한편 미국 재무부의 대니얼 글레이저 부차관보는 BDA 조사결과를 통보하기 위해 이날 마카오로 출발했으며, 마카오 당국에 BDA의 불법활동 관련 증거를 제시하고 북한 동결자금 해제문제를 협의할 예정이어서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고 있다.
숀 매코맥 국무부 대변인은 15일 정례 브리핑을 통해 “재무부가 BDA에 대한 조사결과를 발표했으며, 이에 따라 마카오당국이 구체적인 조치에 대한 결정을 내릴 차례”라며 “글레이저 부차관보가 현지를 방문해 미 재무부측의 모든 조사 결과를 마카오측에 제공해 그들이 충분한 정보를 갖고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마카오 당국과 협의를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