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련, 유엔 인권위에 日 정부 '차별.탄압' 호소
핵실험 이후 총련 관계자 체포 및 긴급수색 잇따라
작년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핵실험 이후 일본 정부와 민간인들로부터 각종 탄압과 차별대우를 받아온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이하 총련)가 15일 유엔에 특사를 보내 일본 정부의 인권 침해 사실을 호소키로 했다.
일본 <교도(共同)통신>은 이날 익명의 총련 관계자를 인용, 총련이 오는 27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는 유엔 인권위원회 회의에 특사를 보내 일본 정부의 차별적인 대우에 항의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총련의 이번 계획은 작년 7월 미사일 발사와 10월 북한의 핵실험 강행 이후 계속돼온 일본 정부의 총련 활동 탄압에 따른 것으로, 일본 정부는 핵실험 이후 총련 관계자 수명을 세금 포탈 등의 혐의로 체포했을 뿐 아니라 도쿄, 오사카의 총련 사무실을 긴급 수색했다고 이 통신은 전했다.
일본 정부는 작년 대북 제재조치에 나선 뒤 북한 화물여객선 만경봉호의 입항금지(6개월) 및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선총련) 관련시설에 대한 고정자산세 면세조치 취소 등에 이어 개정외환법에 따른 대북 송금중단 등 추가 경제재재 조치와 함께 조선총련 관계자에 대한 체포 및 긴급 수색을 펼쳤고, 일본인들의 총련교포에 대한 인권 유린 행위도 잇따라 발생했었다.
이에 따라 이달 초 도쿄에서는 총련계 북한인 1천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일본 정부의 총련 탄압에 항의하는 시위가 벌어지기도 했다.
일본 <교도(共同)통신>은 이날 익명의 총련 관계자를 인용, 총련이 오는 27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는 유엔 인권위원회 회의에 특사를 보내 일본 정부의 차별적인 대우에 항의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총련의 이번 계획은 작년 7월 미사일 발사와 10월 북한의 핵실험 강행 이후 계속돼온 일본 정부의 총련 활동 탄압에 따른 것으로, 일본 정부는 핵실험 이후 총련 관계자 수명을 세금 포탈 등의 혐의로 체포했을 뿐 아니라 도쿄, 오사카의 총련 사무실을 긴급 수색했다고 이 통신은 전했다.
일본 정부는 작년 대북 제재조치에 나선 뒤 북한 화물여객선 만경봉호의 입항금지(6개월) 및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선총련) 관련시설에 대한 고정자산세 면세조치 취소 등에 이어 개정외환법에 따른 대북 송금중단 등 추가 경제재재 조치와 함께 조선총련 관계자에 대한 체포 및 긴급 수색을 펼쳤고, 일본인들의 총련교포에 대한 인권 유린 행위도 잇따라 발생했었다.
이에 따라 이달 초 도쿄에서는 총련계 북한인 1천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일본 정부의 총련 탄압에 항의하는 시위가 벌어지기도 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