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혁 “朴대통령의 '전용' 발언, 설득력 있는 얘기 못돼"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포기, 대화 창구 열어둬야"
6자회담 수석대표 출신인 이수혁 더불어민주당 선거대책위원은 17일 박근혜 대통령의 국회 연설에 대해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사실상 포기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수혁 선대위원은 이날 YTN 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에 대해 대화보다 압박으로 핵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정책 방향을 제시한 것으로 이해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단기적으로는 북이 핵과 미사일 실험을 했으니까 피해 당사국인 한국이 그런 반응을 보이는 것은 필연적"이라면서도 “하지만 중장기적으로 통일 염두에 두고 긴장을 완화한다는 절체절명 과제 앞에서는 대화 협력의 창구도 열어둬야 되는 것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그는 박 대통령이 개성공단 임금의 핵-미사일 개발 전용을 주장한 게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는 야당의 비판에 대해선 “당연하다”며 "유엔 안보리가 핵과 미사일 개발에 쓰이는 돈은 차단해야 한다는 입장을 표명하지 않았나? 그런데 우리가 직접적으로 개성공단을 통해서 들어간 돈이 핵과 미사일 개발에 사용되었다, 그런 개연성이 있다, 우리가 그것을 사실상 이야기해버리는 것은 조금 다른 문제인 것 같다"고 박 대통령 발언을 비판했다.
그는 이어 "북한으로 유입되는 모든 외화 중에서 얼만큼은 대량살상무기 개발에 사용되었을 것이고, 또 일부는 여러 사치품을 샀을 것이고, 또 일부는 산업 시설에 사용되었을 테고, 국민의 경제를 위해서도 사용되었을 거다. 이런 바스켓 개념일 텐데, 꼭 개성공단의 것만 사용해서 핵을 개발했다고 할 수는 없겠죠"라면서 "그러니까 우리가 준 것만 가지고 뭘 했다? 그것은 합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이야기는 아닌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수혁 선대위원은 이날 YTN 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에 대해 대화보다 압박으로 핵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정책 방향을 제시한 것으로 이해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단기적으로는 북이 핵과 미사일 실험을 했으니까 피해 당사국인 한국이 그런 반응을 보이는 것은 필연적"이라면서도 “하지만 중장기적으로 통일 염두에 두고 긴장을 완화한다는 절체절명 과제 앞에서는 대화 협력의 창구도 열어둬야 되는 것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그는 박 대통령이 개성공단 임금의 핵-미사일 개발 전용을 주장한 게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는 야당의 비판에 대해선 “당연하다”며 "유엔 안보리가 핵과 미사일 개발에 쓰이는 돈은 차단해야 한다는 입장을 표명하지 않았나? 그런데 우리가 직접적으로 개성공단을 통해서 들어간 돈이 핵과 미사일 개발에 사용되었다, 그런 개연성이 있다, 우리가 그것을 사실상 이야기해버리는 것은 조금 다른 문제인 것 같다"고 박 대통령 발언을 비판했다.
그는 이어 "북한으로 유입되는 모든 외화 중에서 얼만큼은 대량살상무기 개발에 사용되었을 것이고, 또 일부는 여러 사치품을 샀을 것이고, 또 일부는 산업 시설에 사용되었을 테고, 국민의 경제를 위해서도 사용되었을 거다. 이런 바스켓 개념일 텐데, 꼭 개성공단의 것만 사용해서 핵을 개발했다고 할 수는 없겠죠"라면서 "그러니까 우리가 준 것만 가지고 뭘 했다? 그것은 합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이야기는 아닌 것 같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