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성장률, 재고 빼니 달랑 1.5%
재고 5년만에 가장 높아져, 올해 성장률 더 암울
공장이나 유통 과정에서 쌓인 재고분을 뺀 지난해 경제성장률이 1%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장을 열심히 돌렸는데도 대내외 수요가 부진해 재고가 쌓이면 기업들은 결국 생산을 줄이는 방식으로 재고조정에 들어가게 된다.
재고가 올해 성장률을 낮추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10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재고의 성장 기여도는 1.1%포인트인 것으로 집계됐다.
공장에서 일단 생산된 제품은 소비되지 않고 재고로 남더라도 국내총생산(GDP)에 잡힌다.
지난해 GDP는 2.6% 증가했다.
재고를 빼면 국내 경제가 1.5% 성장하는 데 그쳤다는 뜻이다.
지난해 재고의 성장 기여도는 2010년(3.4%포인트) 이후 5년 만에 가장 높았다.
재고의 성장 기여도는 2011년 0.9%포인트, 2012년 -0.6%포인트, 2013년 -1%포인트로 떨어졌다가 2014년(0.5%포인트)부터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재고의 성장 기여도가 높다는 것은 기업이 생산한 물건이 그만큼 소비되지 않았다는 뜻이다.
생산에서 소비로 연결되는 경기 순환이 원활하지 않다는 의미다.
재고가 늘어났는데 경기 회복이 늦어지면 기업은 생산을 줄이게 된다.
재고 증가가 '생산 감소→투자 위축·고용 감소→경기 회복 지연→재고 증가'의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런 현상은 통계청이 집계하는 산업활동동향에서도 일부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8월 제조업 재고율 지수는 129.6으로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12월(129.9) 이후 6년 8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재고가 쌓이자 쉬는 공장이 늘어나 지난해 11월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72.7%로 2009년 4월(72.4%) 이후 6년 7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제조업 생산 현장에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매서운 한파가 불어닥친 셈이다.
재고가 증가한 가장 큰 원인은 세계 경기 둔화로 인한 수요 부진이다.
우리나라의 최대 수출국인 중국은 지난해 바오치(保七·7%대 성장) 시대에 종언을 고했고, 신흥국들은 중국 경기 둔화와 저유가로 어려움을 겪었다.
중국을 포함한 신흥국 수출 비중이 60%에 이르는 우리나라의 지난해 수출은 전년보다 7.9% 감소했다.
문제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세계 경제의 둔화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작년에는 수출이 줄었어도 코리아 블랙 프라이데이, 자동차·가전제품 개별소비세 인하 등 정부의 진작 정책으로 늘어난 국내 소비가 성장률을 그나마 떠받쳤다.
그러나 지난해 3∼4분기의 높은 소비 증가율을 올해도 계속해서 유지하기는 어렵다. 미리 당겨 쓴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대내외 수요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쌓인 재고가 올해 국내 경제의 성장세를 떨어뜨릴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김진명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2000년 이후 재고 증가세가 3개 분기 이상 진행된 적이 없었던 점을 고려하면 올해 1분기에는 재고 조정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며 "이는 생산 둔화와 성장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외국계 투자은행인 모건스탠리도 최근 보고서를 통해 "재고 증가분을 제외하면 작년 4분기 성장률이 0.2% 수준"이라며 "3개 분기 연속으로 증가한 재고가 단기 성장률을 제한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김두언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재고 부담이 높아진 가운데 환율 전쟁이 격화되고 있으며, 글로벌 제조업 경기도 나빠 수출 부진이 이어질 수 있다"며 올해 국내 경제가 2.8%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와 한국은행의 성장률 전망치는 각각 3.1%, 3.0%다.
공장을 열심히 돌렸는데도 대내외 수요가 부진해 재고가 쌓이면 기업들은 결국 생산을 줄이는 방식으로 재고조정에 들어가게 된다.
재고가 올해 성장률을 낮추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10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재고의 성장 기여도는 1.1%포인트인 것으로 집계됐다.
공장에서 일단 생산된 제품은 소비되지 않고 재고로 남더라도 국내총생산(GDP)에 잡힌다.
지난해 GDP는 2.6% 증가했다.
재고를 빼면 국내 경제가 1.5% 성장하는 데 그쳤다는 뜻이다.
지난해 재고의 성장 기여도는 2010년(3.4%포인트) 이후 5년 만에 가장 높았다.
재고의 성장 기여도는 2011년 0.9%포인트, 2012년 -0.6%포인트, 2013년 -1%포인트로 떨어졌다가 2014년(0.5%포인트)부터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재고의 성장 기여도가 높다는 것은 기업이 생산한 물건이 그만큼 소비되지 않았다는 뜻이다.
생산에서 소비로 연결되는 경기 순환이 원활하지 않다는 의미다.
재고가 늘어났는데 경기 회복이 늦어지면 기업은 생산을 줄이게 된다.
재고 증가가 '생산 감소→투자 위축·고용 감소→경기 회복 지연→재고 증가'의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런 현상은 통계청이 집계하는 산업활동동향에서도 일부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8월 제조업 재고율 지수는 129.6으로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12월(129.9) 이후 6년 8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재고가 쌓이자 쉬는 공장이 늘어나 지난해 11월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72.7%로 2009년 4월(72.4%) 이후 6년 7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제조업 생산 현장에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매서운 한파가 불어닥친 셈이다.
재고가 증가한 가장 큰 원인은 세계 경기 둔화로 인한 수요 부진이다.
우리나라의 최대 수출국인 중국은 지난해 바오치(保七·7%대 성장) 시대에 종언을 고했고, 신흥국들은 중국 경기 둔화와 저유가로 어려움을 겪었다.
중국을 포함한 신흥국 수출 비중이 60%에 이르는 우리나라의 지난해 수출은 전년보다 7.9% 감소했다.
문제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세계 경제의 둔화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작년에는 수출이 줄었어도 코리아 블랙 프라이데이, 자동차·가전제품 개별소비세 인하 등 정부의 진작 정책으로 늘어난 국내 소비가 성장률을 그나마 떠받쳤다.
그러나 지난해 3∼4분기의 높은 소비 증가율을 올해도 계속해서 유지하기는 어렵다. 미리 당겨 쓴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대내외 수요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쌓인 재고가 올해 국내 경제의 성장세를 떨어뜨릴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김진명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2000년 이후 재고 증가세가 3개 분기 이상 진행된 적이 없었던 점을 고려하면 올해 1분기에는 재고 조정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며 "이는 생산 둔화와 성장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외국계 투자은행인 모건스탠리도 최근 보고서를 통해 "재고 증가분을 제외하면 작년 4분기 성장률이 0.2% 수준"이라며 "3개 분기 연속으로 증가한 재고가 단기 성장률을 제한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김두언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재고 부담이 높아진 가운데 환율 전쟁이 격화되고 있으며, 글로벌 제조업 경기도 나빠 수출 부진이 이어질 수 있다"며 올해 국내 경제가 2.8%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와 한국은행의 성장률 전망치는 각각 3.1%, 3.0%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