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세계무역증가율 고작 2.2%, 한국경제 타격
20년간 평균 증가율 절반에도 못 미쳐
지난해 세계 교역이 당초 전망을 밑도는 정체 상태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세계무역기구(WTO) 사무국은 '세계 무역 보고서 2014'에서 작년 세계 무역 증가율이 2.2%로 2012년 2.3%보다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애초 WTO가 전망한 무역 증가율 2.5%는 물론 1993년 이후 20년간 연평균 증가율 5.3%에 못 미치는 것이다.
세계 수출 증가율은 2012년 2.4%에서 2013년 2.5%로 높아졌지만 수입 증가율은 2.1%에서 1.9%로 낮아졌다. WTO는 유럽의 경기 침체와 높은 실업률, 미국 통화정책의 불확실성 등이 세계 교역의 부진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세계 무역에서 개발도상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0년 32%에서 2011년 47%로 상승했다. 1인당 국내총생산(GDO) 증가율이 선진국은 1990년대 연평균 2.9%에서 2000년대 0.9%로 축소됐지만 개도국은 같은 기간 1.5%에서 4.7%로 커졌다.
WTO는 개도국의 위상 증대, 글로벌 가치사슬의 부상, 1차 상품의 중요성 부각, 거시경제 충격의 동조화를 세계 무역의 4대 추세로 제시했다.
26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세계무역기구(WTO) 사무국은 '세계 무역 보고서 2014'에서 작년 세계 무역 증가율이 2.2%로 2012년 2.3%보다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애초 WTO가 전망한 무역 증가율 2.5%는 물론 1993년 이후 20년간 연평균 증가율 5.3%에 못 미치는 것이다.
세계 수출 증가율은 2012년 2.4%에서 2013년 2.5%로 높아졌지만 수입 증가율은 2.1%에서 1.9%로 낮아졌다. WTO는 유럽의 경기 침체와 높은 실업률, 미국 통화정책의 불확실성 등이 세계 교역의 부진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세계 무역에서 개발도상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0년 32%에서 2011년 47%로 상승했다. 1인당 국내총생산(GDO) 증가율이 선진국은 1990년대 연평균 2.9%에서 2000년대 0.9%로 축소됐지만 개도국은 같은 기간 1.5%에서 4.7%로 커졌다.
WTO는 개도국의 위상 증대, 글로벌 가치사슬의 부상, 1차 상품의 중요성 부각, 거시경제 충격의 동조화를 세계 무역의 4대 추세로 제시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