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한국 성장률 3.6%로 또 하향조정
"세계경제 불확실성으로 대내외 수요 약화"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6%로 내렸다. 이는 작년 11월에 예측했던 3.8%보다 0.2%포인트 낮춘 수치다.
KDI의 올해 성장률 전망은 작년 5월에 예상했던 4.3%를 11월에 3.8%로 낮춘 데 이어 두번째 하향 조정이다.
KDI는 20일 발표한 상반기 경제전망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세계경제 불확실성 탓에 대내외 수요가 전반적으로 약해져 작년 하반기 이후 경기둔화가 지속하는 모습"이라며 이같이 하향조정했다.
KDI는 그러나 "작년 하반기 이후 우리 경제의 성장세가 완만히 둔화하고 있지만, 하반기부터 견실한 회복세가 예상된다"며 "내년에는 세계경제가 점차 살아나고 우리 경제도 수출과 내수 모두 증가세가 확대돼 성장률이 4%대로 올라설 것"으로 전망했다.
KDI는 "세계경제 성장세 약화에 따른 둔화요인이 당분간 지속할 수 있지만 거시경제정책의 기조를 전환할 필요는 크지 않다"고 판단했다.
KDI의 올해 성장률 전망은 작년 5월에 예상했던 4.3%를 11월에 3.8%로 낮춘 데 이어 두번째 하향 조정이다.
KDI는 20일 발표한 상반기 경제전망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세계경제 불확실성 탓에 대내외 수요가 전반적으로 약해져 작년 하반기 이후 경기둔화가 지속하는 모습"이라며 이같이 하향조정했다.
KDI는 그러나 "작년 하반기 이후 우리 경제의 성장세가 완만히 둔화하고 있지만, 하반기부터 견실한 회복세가 예상된다"며 "내년에는 세계경제가 점차 살아나고 우리 경제도 수출과 내수 모두 증가세가 확대돼 성장률이 4%대로 올라설 것"으로 전망했다.
KDI는 "세계경제 성장세 약화에 따른 둔화요인이 당분간 지속할 수 있지만 거시경제정책의 기조를 전환할 필요는 크지 않다"고 판단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