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2040년대 선진국 탈락. 한국에 추월 당해"
일본 게이단렌 분석, "한국은 14위, 일본은 18위 될 것"
일본 <요미우리> 신문 인터넷판은 16일 <일본, 선진국에서 탈락? 게이단렌 연구기관 예측>이란 제목의 기사를 통해 우리나라의 전경련에 해당하는 게이단렌(経団連)의 산하 연구기관인 '21세기정책연구소'가 이날 발표한 오는 2050년까지의 일본과 세계 50개국의 장기경제예측 결과를 소개했다.
이 예측은 4개의 시니라오에 기초해 일본경제 성장률과 규모를 시산한 것으로, 저출산과 고령화의 본격화로 일본은 2030년대 이후 마이너스 성장으로 바뀌면서 효과적인 성장전략을 구사하지 못할 경우 선진국에서 탈락할지도 모른다고 경고했다.
연구소가 정리한 '글로벌 저팬 2050년 시뮬레이션과 종합전략'에 따르면, 일본의 인구와 저축·투자 동향, 생산성 변화를 예측해 시산한 결과 일본의 생산성이 다른 선진국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한다는 전제하에 작성된 '기준 시나리오'에서 일본은 2030년대부터 마이너스 성장에 돌입해 2041~2050년의 GDP 성장률은 평균 -0.47%이 될 전망이다.
이럴 경우 현재 세계 3위인 일본의 GDP는 4위로 떨어지면서 중국과 미국의 약 6분의 1로 줄어든다. 또한 1인당 GDP 역시 세계 18위를 기록하면서 한국(14위)에게 추월 당할 것으로 예상됐다.
여성의 취업률이 북유럽 수준까지 높아지는 '노동력 개선 시나리오' 하에서는 일본의 성장률은 2031~2040년에 평균 -0.17%, 2041~2050년에는 -0.46%로 낮아질 것으로 추산됐다.
더욱이 일본 정부부채가 급팽창하면서 성장을 방해하는 최악의 '비관 시나리오'에서는 2010년대에 곧바로 마이너스 성장으로 곤두박질치면서 2041~2050년에는 마이너스 -1.32%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렇게 되면 일본의 GDP 규모는 세계 9위로 곤두박질치면서 중국과 미국의 8분의 1로 줄어들게 된다.
이밖에 생산성이 1990년~2010년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하는 '잃어버린 20년이 계속되는 시나리오'에서는 2041~2050년에 -0.86%의 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됐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