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한국 신용등급 'A' 유지
전망도 '안정적' 유지, 지정학적 리스크 계속 경고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14일 우리나라의 국가 신용등급을 현행대로 유지했다.
S&P는 이날 한국의 양호한 재정 건전성과 순대외채권국 지위 유지 등을 이유로 신용등급을 현재처럼 `A'로, 전망을 `안정적'(stable)으로 유지한다고 기획재정부에 통보했다.
S&P는 2005~2008년 일반정부 재정수지가 지속적인 흑자를 기록하고 올해 우리나라의 일반정부 순부채가 국내총생산(GDP)의 22% 정도에 불과하다며 한국의 재정이 견실하다고 평가했다.
S&P는 또한 한국의 순대외채권국 유지와 원화의 활발한 거래 등은 외화부채상의 리스크를 줄이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S&P는 그러나 지정학적 리스크와 통일 비용에 관한 문제는 신용등급 상향을 제약하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S&P는 북한의 김정은 후계 문제 등 북한 정세와 관련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으며 만약 북한이 붕괴하면 막대한 통일비용을 부담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S&P는 이날 한국의 양호한 재정 건전성과 순대외채권국 지위 유지 등을 이유로 신용등급을 현재처럼 `A'로, 전망을 `안정적'(stable)으로 유지한다고 기획재정부에 통보했다.
S&P는 2005~2008년 일반정부 재정수지가 지속적인 흑자를 기록하고 올해 우리나라의 일반정부 순부채가 국내총생산(GDP)의 22% 정도에 불과하다며 한국의 재정이 견실하다고 평가했다.
S&P는 또한 한국의 순대외채권국 유지와 원화의 활발한 거래 등은 외화부채상의 리스크를 줄이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S&P는 그러나 지정학적 리스크와 통일 비용에 관한 문제는 신용등급 상향을 제약하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S&P는 북한의 김정은 후계 문제 등 북한 정세와 관련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으며 만약 북한이 붕괴하면 막대한 통일비용을 부담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