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석 대장, 안나푸르나 등정중 연락두절
대원 두명과 함께 실종, "낙석이 심하다" 마지막 통화
산악인 박영석(48) 대장이 대원 두명과 함께 히말라야 8천m급 안나푸르나 남벽 등정 중 연락이 두절돼 우려를 낳고 있다.
20일 박영석탐험문화재단 측에 따르면, 박 대장과 일행은 안나푸르나 6천500m 지점을 등반 중 18일 오후 4시부터 24시간 넘게 연락이 두절된 상태다.
정상공격에 나선 박 대장 일행은 6500미터 지점에서 "눈과 안개가 가득하다. 낙석이 심하다"는 내용의 교신을 한 뒤 베이스캠프와 연락이 끊긴 것으로 알려졌다.
연락두절 시간이 길어지자 베이스캠프에 기다리고 있던 대원들은 박 대장 일행에 대한 수색에 나섰다.
박영석 대장 일행은 텐트 없이 비박을 하며 험한 길을 오르는 방식의 알파인 스타일로 안나푸르나 남벽 새로운 루트를 개척하기 위해 지난달 19일 히말라야로 출국했다.
안나푸르나 남벽은 에베레스트 남서벽(8850m), 로체 남벽(8516m)과 함께 히말라야 3대 남벽으로 꼽힌다. 3대 남벽 중에서도 가장 오르기 어려운 코스다.
박영석 대장은 히말라야 14좌를 정복하고 남북극을 도보로 탐험했던 베터랑 산악인이다.
20일 박영석탐험문화재단 측에 따르면, 박 대장과 일행은 안나푸르나 6천500m 지점을 등반 중 18일 오후 4시부터 24시간 넘게 연락이 두절된 상태다.
정상공격에 나선 박 대장 일행은 6500미터 지점에서 "눈과 안개가 가득하다. 낙석이 심하다"는 내용의 교신을 한 뒤 베이스캠프와 연락이 끊긴 것으로 알려졌다.
연락두절 시간이 길어지자 베이스캠프에 기다리고 있던 대원들은 박 대장 일행에 대한 수색에 나섰다.
박영석 대장 일행은 텐트 없이 비박을 하며 험한 길을 오르는 방식의 알파인 스타일로 안나푸르나 남벽 새로운 루트를 개척하기 위해 지난달 19일 히말라야로 출국했다.
안나푸르나 남벽은 에베레스트 남서벽(8850m), 로체 남벽(8516m)과 함께 히말라야 3대 남벽으로 꼽힌다. 3대 남벽 중에서도 가장 오르기 어려운 코스다.
박영석 대장은 히말라야 14좌를 정복하고 남북극을 도보로 탐험했던 베터랑 산악인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