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방송사들, 해외스포츠 중계권 획득 과당경쟁

과당경쟁으로 중계권료 해마다 눈덩이처럼 커져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EPL), K-1, 미국 메이저리그 프로야구(MLB) 등 인기 해외스포츠 중계에 지불되는 중계권료가 눈덩이처럼 늘어나고 있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1997년 연간 30만달러였던 MLB 국내 중계권료는 1998년 ITV가 연간 100만 달러에 중계권을 따내자 2001년에는 MBC가 연간 800만 달러로 올려 중계권을 가로채는 데 성공했다. 이어 2005년에는 엑스포츠의 모회사인 썬TV가 4년간 4천800만달러로 중계권을 따내면서1997년 중계권료와 비교하면 불과 8년 만에 40배나 증가했다.

MBC ESPN은 박지성의 활약으로 인기를 모으고 있는 EPL 중계권료로 2007-2008시즌부터 3시즌 동안 해마다 1천만달러 내외의 금액을 지불하는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종격투기 K-1을 중계하는 CJ미디어 역시 2007년부터 3년 동안 중계권료로 총 200억 원 가량을 지급하기로 했다. 이 역시 2003년 KBS스카이가 연간 1억 원에 K-1 국내 중계권을 계약한 것에 비하면 70배나 불어난 액수다.

SBS골프와 내년에 중계권 계약이 만료되는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중계권료도 큰 폭의 인상을 예고하고 있다. SBS골프의 현재 중계권료(연간 225만 달러)보다 2배 이상 높은 금액을 제시한 방송사가 나타났으며 이 업체는 LPGA사무국에 180만 달러 상금 규모의 대회를 신설하겠다는 제의도 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국내 방송사들이 인기 외국 스포츠 컨텐츠에 대한 중계권 확보를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것은 이들 외국 스포츠에 대한 국내 시청자 수요가 가파르게 늘고 있기 때문. 그러나 일각에서는 방송사들의 과당경쟁으로 지불하는 액수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면서 국부 유출 논란도 일고 있어, 현재 막대한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방송사들이 앞으로도 제살 깎아먹기식 과당경쟁을 지속할 것인지를 지켜볼 일이다.
임재훈 기자

댓글이 1 개 있습니다.

  • 2 5
    슨상

    기득권에 비하면 푼돈이지
    내 신도들을 계속 멍텅구리로 유지해야
    세습 가능타.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