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거품 파열 본격화, 올 들어 최대 급락
수도권 모두 급락, 아파트 거래-재건축 사업 '올스톱'
수도권 아파트값이 올 들어 가장 큰 폭으로 떨어지고 인천마저 올 들어 처음으로 아파트값이 떨어지는 등 금융패닉과 주택담보대출금리 급등 등이 맞물리면서 아파트거품 파열이 가속화하는 양상이다. 금주에 수도권 일대를 통틀어 오름세를 보인 지역은 마포구 한 곳에 불과했다.
17일 부동산포탈 <스피드뱅크>에 따르면, 10월 셋째 주 서울.수도권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서울 -0.14%, 신도시 -0.25%, 경기 -0.20%, 인천 -0.03%로 나타나 네 곳 모두 하락했다. 재건축 역시 올 들어 최대 하락폭을 기록해 서울 -0.51%, 경기 -0.44%로 나타냈다.
서울은 강동구(-0.65%)가 가장 많이 하락했고, 이어 송파구(-0.57%), 강남구(-0.38%), 서초구(-0.34%), 도봉구(-0.17%), 노원구(-0.15%) 등이 하락했다.
강남 일대는 급매물을 노리던 매수자들마저 자취를 감췄다. 특히 재건축 아파트는 지분가치 급락으로 사업추진이 거의 '올스톱'됐다.
잠실동 잠실주공5단지 115㎡(35평형)는 11억~11억5000만원 선으로 한 주 동안 5천만원이 떨어졌다. 대치동 은마아파트 102㎡(31평형) 역시 쏟아지는 매물을 감당하지 못하고 결국 9억선이 무너졌다. 매매가도 2년 전 가격과 비슷한 수준으로 하락한 가운데 현 시세는 전주대비 3천500만원 하락한 8억8천만~9억8천만원 선이다.
신도시 역시 9월 넷째 주에 이어 또 다시 5개 지역 모두 내림세를 기록했다. 분당을 제외한 네 곳 모두 낙폭이 커진 가운데 평촌(-0.41%), 산본(-0.27%), 일산(-0.23%) 등이 하락을 주도했다. 평촌동 꿈건영3단지 125㎡(38평형)는 1천500만원 하락한 5억6천만~6억9천만원, 산본동 백두극동 138㎡(42평형)는 4천만원 하락한 4억9천만~6억원 선에 각각 시세를 형성했다.
경기는 안양시(-0.63%), 과천시(-0.60%), 광주시(-0.59%), 하남시(-0.27%), 용인시(-0.26%), 성남시(-0.24%) 등 남부지역 대부분이 큰 폭으로 떨어졌다.
과천시 래미안3단지는 입주 시작 후 2개월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입주율이 절반에도 못 미치고 있다. 최근 입주를 포기하는 사람도 부쩍 늘어 기존주택 처분 자체가 어려워지면서 잔금을 납부하지 못하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109㎡(33평형)는 2천만원 하락한 7억5천만~9억원 선이다.
분당신도시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성남시 일대 구시가지도 침체 분위기가 완연해, 연말 판교 입주를 앞두고 있어 물량 쇼크가 일어날 가능성도 적지 않다. 신흥동 두산 105㎡(32평형)는 2천500만원 하락한 4억1천만~4억5천만원 선에 거래 가능하다.
3.3㎡당 매매가가 500만원대 수준으로 가격 경쟁력에서 우위를 보여왔던 포천시(-0.36%), 동두천시(-0.18%) 등도 금주 하락세로 돌아섰다. 포천시 소흘읍 영화아이닉스 138㎡(42평형)는 1천만원 하락한 2억6천만~2억9천만원 선이다.
인천은 연수구가 0.22% 하락하면서 올 들어 처음으로 아파트값이 떨어졌다.특히 송도신도시 인근 아파트들이 급락, 동춘동 한양1차 161㎡(49평형)는 3천만원 하락한 4억7천만~5억5천만원 선에 시세를 형성했다.
17일 부동산포탈 <스피드뱅크>에 따르면, 10월 셋째 주 서울.수도권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서울 -0.14%, 신도시 -0.25%, 경기 -0.20%, 인천 -0.03%로 나타나 네 곳 모두 하락했다. 재건축 역시 올 들어 최대 하락폭을 기록해 서울 -0.51%, 경기 -0.44%로 나타냈다.
서울은 강동구(-0.65%)가 가장 많이 하락했고, 이어 송파구(-0.57%), 강남구(-0.38%), 서초구(-0.34%), 도봉구(-0.17%), 노원구(-0.15%) 등이 하락했다.
강남 일대는 급매물을 노리던 매수자들마저 자취를 감췄다. 특히 재건축 아파트는 지분가치 급락으로 사업추진이 거의 '올스톱'됐다.
잠실동 잠실주공5단지 115㎡(35평형)는 11억~11억5000만원 선으로 한 주 동안 5천만원이 떨어졌다. 대치동 은마아파트 102㎡(31평형) 역시 쏟아지는 매물을 감당하지 못하고 결국 9억선이 무너졌다. 매매가도 2년 전 가격과 비슷한 수준으로 하락한 가운데 현 시세는 전주대비 3천500만원 하락한 8억8천만~9억8천만원 선이다.
신도시 역시 9월 넷째 주에 이어 또 다시 5개 지역 모두 내림세를 기록했다. 분당을 제외한 네 곳 모두 낙폭이 커진 가운데 평촌(-0.41%), 산본(-0.27%), 일산(-0.23%) 등이 하락을 주도했다. 평촌동 꿈건영3단지 125㎡(38평형)는 1천500만원 하락한 5억6천만~6억9천만원, 산본동 백두극동 138㎡(42평형)는 4천만원 하락한 4억9천만~6억원 선에 각각 시세를 형성했다.
경기는 안양시(-0.63%), 과천시(-0.60%), 광주시(-0.59%), 하남시(-0.27%), 용인시(-0.26%), 성남시(-0.24%) 등 남부지역 대부분이 큰 폭으로 떨어졌다.
과천시 래미안3단지는 입주 시작 후 2개월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입주율이 절반에도 못 미치고 있다. 최근 입주를 포기하는 사람도 부쩍 늘어 기존주택 처분 자체가 어려워지면서 잔금을 납부하지 못하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109㎡(33평형)는 2천만원 하락한 7억5천만~9억원 선이다.
분당신도시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성남시 일대 구시가지도 침체 분위기가 완연해, 연말 판교 입주를 앞두고 있어 물량 쇼크가 일어날 가능성도 적지 않다. 신흥동 두산 105㎡(32평형)는 2천500만원 하락한 4억1천만~4억5천만원 선에 거래 가능하다.
3.3㎡당 매매가가 500만원대 수준으로 가격 경쟁력에서 우위를 보여왔던 포천시(-0.36%), 동두천시(-0.18%) 등도 금주 하락세로 돌아섰다. 포천시 소흘읍 영화아이닉스 138㎡(42평형)는 1천만원 하락한 2억6천만~2억9천만원 선이다.
인천은 연수구가 0.22% 하락하면서 올 들어 처음으로 아파트값이 떨어졌다.특히 송도신도시 인근 아파트들이 급락, 동춘동 한양1차 161㎡(49평형)는 3천만원 하락한 4억7천만~5억5천만원 선에 시세를 형성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