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광주선언 "北 핵포기하고 美 금융제재 풀라"

광주정상회의 "비폭력.용서.화해 노력 지속해야"

김대중 전 대통령과 고르바초프 전 소련 대통령, 국제 앰네스티 관계자 등 노벨평화상 수상자 광주정상회의 참가자들은 17일 "북한은 핵을 포기하고 미국은 금융제재를 풀라"고, '대포동 위기'로 긴장이 급속히 고조되는 한반도의 평화해법을 제시했다.

김대중.고르바초프 등 노벨평화상 수상자들 한 목소리

이들은 이날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노벨평화상 수상자 정상회의(World Summit of Nobel Peace Laureates) 회견에서 범지구적 문제, 한반도 문제, 국제적 비핵화문제 등 3개부문 11개항에 대한 선언과 제안을 '정상회의 광주선언문'을 통해 발표했다.

이들은 특히 한반도 문제와 관련, 비무장지대의 평화공원 조성, 북핵문제를 둘러싼 국제적 대립과 긴장 해결, 6자회담의 조속한 재개, 9.19 베이징 공동선언의 성실한 이행 등을 촉구했다.

이들은 이를 구체적 해법으로 북한에 대해선 핵포기와 국제사회의 철저한 검증을, 미국에 대해선 대북금융제재 해제와 체제 안전보장 등을 요구한 뒤 한반도와 세계 평화증진을 위해 다자간협의체 상설화를 제의했다.

이들은 또 "깊은 우정과 공동 철학에 기초해 민주주의와 평화가 위태로운 곳이면 어디든지 날아가는 등 우리에게 주어진 책무와 역할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해, 북한의 대포동 2호 발사 등으로 한반도 긴장이 고조될 경우 중재 역할에 나설 것임을 우회적으로 밝히기도 했다.

김대중 전대통령과 고르바초프 전 소련대통령 등 광주정상회의 참석자들이 17일 북-미 대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광주선언을 발표하며 사흘간의 회의를 마쳤다. ⓒ연합뉴스


"비폭력과 용서, 화해"

이밖에 범 지구적 갈등 해법으로는 "민주주의와 평화 증진을 위해 비폭력과 용서, 화해 등 평화적인 노력을 지속해야 하며 억압된 인권 개선을 위한 국제적 협력도 요구된다"고 밝혔다.

또한 여성의 권리와 역할 존중, 건강한 환경유지, 전쟁을 위한 각종 제도 무력화(無力化), 세계평화를 위한 UN의 역할 존중, 아프리카 국가 빚 탕감 등도 강조했다.

국제적 비핵화를 위해선 우라늄과 플루토늄 생산 차단, 포괄적핵실럼금지조약 확대, 핵무기 사용금지 법적 확인, 미.소 핵무기 등의 확실한 검증 등이 실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선언문에서 "한국 민주화의 성지,광주에서 한반도와 세계 민주주의, 평화를 위한 인류의 염원과 역사적 책무를 확인했다"며 "이번 회의는 5.18 민주화운동과 6.15 남북공동선언의 정신을 되새기기 위해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노벨상정상회의에는 김대중 전 대통령(2000년 수상), 미하일 고르바초프(1990년 수상) 옛 소련 대통령,모이러 코리건 마기르(영국·1976), 리고베르타 멘추 툼(과테말라·1992), 호세 라모스 오르타(동티모르·1996), 쉬린 에바디(이란·2003) 왕가리 마타이(케냐·2004) 등 개인 수상자 7명과 국제평화사무국(1910), 국제적십자위원회(1917), 국제사면위원회(1977), 미국퀘이커봉사위원회(1947), 국제연합난민고등판무관사무소(1954), 핵전방지국제의학자기구(1977), 퍼그워시회의(1995) 등 수상단체 대표 7명 등 노벨상을 수상한 전세계의 지도자급 인사들이 참석했다.

노벨상수상자정상회의는 이탈리아 로마에 있는 고르바초프재단이 이탈리아 지부가 있는 로마에서 1999년 처음 개최한 이래 2001년을 제외하고 매년 6차례에 걸쳐 로마에서 열렸으며, 올해 사상 처음으로 로마가 아닌 지역인 광주에서 개최됐다. 지난 15일 개막됐던 노벨상정상회의는 3일 동안의 일정을 마치고 17일 폐막된다.
김홍국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