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전문가 "부시, 임기내 북핵 해결 포기"
"北 핵실험 재개 막기 위한 위기관리 모드로 전환"
조지 W. 부시 미국 정부가 임기내에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목표 달성이 어렵다고 판단, 부시 임기내 완전 비핵화 방침을 포기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한 부시 정부는 북한이 핵실험을 다시 하거나 영변 핵시설을 재가동하는 것과 같은 상황이 벌어지지 않도록 관리하는 '위기관리' 모드로 전환한 것으로 알려져 귀추가 주목된다.
6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미국 국무부와 백악관 내부 사정에 정통한 한 외교전문가는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한국의 새 정부 출범에 따른 대한 정책을 논의하기 위해 최근 소집된 미 행정부의 관계기관 회의에서 북핵문제와 관련 "모험적인 것을 추구하기보다는 어떤 모양이 됐건 타결을 모색하는 소극적인 방향으로 돌아선 것 같다"고 말했다.
이 전문가는 "부시 행정부는 북한의 핵실험 재개나 영변 핵시설 재가동 같은 위기 상황이 발생해서 북핵 사태가 최종 붕괴 국면으로 치닫는 것을 피하는 선에서 현재의 협상 기조를 유지하는 일종의 위기관리 쪽으로 선회하기로 한 것 같다"고 덧붙였다.
그는 "북한도 북핵해결에 대한 희망을 접은 것으로 보이는 부시 행정부내 기류를 잘 알고 있는 것 같다"며 "그 때문에 북한이 앞으로 대미 압박의 수위를 높일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스콧 스나이더 아시아재단 선임연구원은 이와 관련, 방송과 인터뷰에서 "그런 방침이 만족스럽다곤 보지 않지만 이게 사실이라면 대북 핵정책에 대한 부시 행정부의 실패를 보여준다"며 "문제는 6자회담의 다른 참가국들도 북핵 문제에 대한 이같은 ‘위기 관리’ 방침에 동의할지 의문"이라고 밝혔다.
존스홉킨대 국제대학원의 오버도퍼 교수는 이와 관련, "핵합의 약속이 진척되지 않는 데 따라 북한이 미국에 대해 좌절감을 드러낸 것으로 본다"며 "그러나 북한은 모든 게 불확실한 차기 미 정부보다는 부시 행정부를 상대로 협상을 타결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지적했다.
6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미국 국무부와 백악관 내부 사정에 정통한 한 외교전문가는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한국의 새 정부 출범에 따른 대한 정책을 논의하기 위해 최근 소집된 미 행정부의 관계기관 회의에서 북핵문제와 관련 "모험적인 것을 추구하기보다는 어떤 모양이 됐건 타결을 모색하는 소극적인 방향으로 돌아선 것 같다"고 말했다.
이 전문가는 "부시 행정부는 북한의 핵실험 재개나 영변 핵시설 재가동 같은 위기 상황이 발생해서 북핵 사태가 최종 붕괴 국면으로 치닫는 것을 피하는 선에서 현재의 협상 기조를 유지하는 일종의 위기관리 쪽으로 선회하기로 한 것 같다"고 덧붙였다.
그는 "북한도 북핵해결에 대한 희망을 접은 것으로 보이는 부시 행정부내 기류를 잘 알고 있는 것 같다"며 "그 때문에 북한이 앞으로 대미 압박의 수위를 높일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스콧 스나이더 아시아재단 선임연구원은 이와 관련, 방송과 인터뷰에서 "그런 방침이 만족스럽다곤 보지 않지만 이게 사실이라면 대북 핵정책에 대한 부시 행정부의 실패를 보여준다"며 "문제는 6자회담의 다른 참가국들도 북핵 문제에 대한 이같은 ‘위기 관리’ 방침에 동의할지 의문"이라고 밝혔다.
존스홉킨대 국제대학원의 오버도퍼 교수는 이와 관련, "핵합의 약속이 진척되지 않는 데 따라 북한이 미국에 대해 좌절감을 드러낸 것으로 본다"며 "그러나 북한은 모든 게 불확실한 차기 미 정부보다는 부시 행정부를 상대로 협상을 타결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