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 "북-미 주장 병기 문서화 방안 모색 중"
"3월내 신고 않을 경우 핵폐기 프로그램 완료에 문제 발생"
북핵 6자회담 미국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대 차관보는 5일(현지시간) 교착 상태에 빠진 북한의 핵신고 문제에 대한 타개책의 일환으로 북한과 미국이 양측 주장을 나란히 밝히는 형태의 문서화를 검토하고 있다고 확인했다.
6일 일본 <요미우리(讀賣)신문>에 따르면, 힐 차관보는 이날 아시아 순방을 마치고 귀국한 위싱턴 근교의 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은 미국측 방침을 거듭 밝혔다.
미국은 북한의 핵프로그램의 완전신고와 관련, 우라늄 농축에 의한 핵개발과 시리아 등에 대한 이전 등 핵확산 실태를 담을 것을 요구했으나 북한이 이를 거부하면서 지난해 말로 예정됐던 시한을 넘겼다.
이에 미국과 6자회담 의장국인 중국은 지난 72년 미국과 중국이 상호 대외정책의 차이점을 인정하고 대만문제 등에서 각자의 입장을 병기해 결국 관계정상화에 이르게 한 '상하이 공동성명'을 참고로 미국과 북한의 주장을 나란히 기술하는 방안을 모색해 왔다.
이와 관련, 힐 차관보는 "(북한과의)입장 차를 좁힐 수 있는 방안이 많이 있으며 상하이 공동성명은 참고로 하는 안들 가운데 하나"라고 말해, 상하이 공동성명과 함께 다른 안도 채택할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그는 "북한의 신고 시기에 관해 특히 우려하고 있다. 3월 안으로 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 핵폐기 프로그램의 완료에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강조, 이달 내로 교착상황을 타개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이기도 했다.
6일 일본 <요미우리(讀賣)신문>에 따르면, 힐 차관보는 이날 아시아 순방을 마치고 귀국한 위싱턴 근교의 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은 미국측 방침을 거듭 밝혔다.
미국은 북한의 핵프로그램의 완전신고와 관련, 우라늄 농축에 의한 핵개발과 시리아 등에 대한 이전 등 핵확산 실태를 담을 것을 요구했으나 북한이 이를 거부하면서 지난해 말로 예정됐던 시한을 넘겼다.
이에 미국과 6자회담 의장국인 중국은 지난 72년 미국과 중국이 상호 대외정책의 차이점을 인정하고 대만문제 등에서 각자의 입장을 병기해 결국 관계정상화에 이르게 한 '상하이 공동성명'을 참고로 미국과 북한의 주장을 나란히 기술하는 방안을 모색해 왔다.
이와 관련, 힐 차관보는 "(북한과의)입장 차를 좁힐 수 있는 방안이 많이 있으며 상하이 공동성명은 참고로 하는 안들 가운데 하나"라고 말해, 상하이 공동성명과 함께 다른 안도 채택할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그는 "북한의 신고 시기에 관해 특히 우려하고 있다. 3월 안으로 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 핵폐기 프로그램의 완료에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강조, 이달 내로 교착상황을 타개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이기도 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