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강병태 "'고소영' 비난은 기득권 방어논리"

"참모 구성하는데 지연-학연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 우습다"

<한국일보>의 강병태 수석논설위원이 이명박 초대정부 인사를 둘러싼 '고소영' 비판 여론을 야당 및 언론-지식인집단의 기득권 방어 차원의 '억지 공세'라고 비난, 논란을 예고하고 있다.

고려대, TK 출신의 강 위원은 연초에도 고대교우회의 과도한 이명박 당선인 예찬을 비판한 <한겨레>를 "선동 삐라"라고 원색적으로 비난,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강병태 "'고소영' 비판은 기득권 방어 논리"

강병태 위원은 4일자 칼럼 <'고소영' 논란의 사회심리학>을 통해 "청와대 수석 인사에 대뜸 ‘고소영’을 외친 이들은 대학 교회 지역 등의 연고에 얽매인 인사를 개탄했다"며 "그러나 기실은 사회의 뿌리깊은 연고의식과 편견을 자극해 일깨우는 작용을 노렸다. 스스로 의식 깊이 박힌 연고의식과 이기적 동기가 발동했으면서도, 공공을 위한 비판인양 가장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강 위원은 "청와대 수석에 고려대와 영남 출신, 소망교회 신도 몇몇이 들어있다고 ‘고소영’ 편중을 떠든 것은 생뚱 맞다"며 "대통령 측근의 10명도 안 되는 참모 구성에 지연과 학연 따위를 두루 고려한 안배가 지당한 양 말하는 것은 우습다. 골고루 나누면 좋겠지만, 그게 필수인양 강변하는 것은 동서고금 사리에 어긋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장관 인사에 다시 ‘고소영’을 언급한 이들은 숫제 사리분별을 버린 듯했다. 수석과 장관 후보 24명 가운데 고대 출신이 4명으로 서울대 11명인가 다음으로 많다는 지적은 도대체 뭘 얘기하는지, 인지능력이 의심스럽다"며 "한신대 윤평중 교수가 칼럼에서 논평한 ‘서울대 독점’을 굳이 논하지 않더라도, 우리사회 엘리트 조직에서 고대 출신 비율이 그 정도면 평균 아래일 것"이라며 '고대 비판'에 대한 불쾌감을 숨기지 않았다.

그는 또 "인구 대비조차 없이, 영남 출신이 3분의 1이나 되는 반면 호남은 20%에 불과하다고 강조한다. 영남 비율이 DJ 시절보다 크게 늘었다면서, 정작 DJ 정부의 영ㆍ호남 비율은 언급하지 않는다"며 "이처럼 조리 없이 잡다한 시비는 어느 정부든 대통령의 출신 배경에 따라 핵심 인적구성이 크게 다를 수밖에 없는 이치에 눈감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정권을 놓친 정치세력의 억한 심사와 언행은 이해한다"며 "그러나 언론과 지식인 집단까지 한통속으로 국민 화합 등의 대의와 거리 먼 논란에 매달리는 꼴은 보기 흉하다"며 언론과 지식인 집단으로 화살을 돌렸다. 그는 여기서 멈추지 않고 "그 바탕은 나라와 국민이 아닌 자신의 입지와 기득권을 위해 방어선을 치는 심리"라며, 비판의 동인을 기득권 수호로 규정하기까지 했다.

이명박 새정부 인선을 둘러싼 '고소영' 비판에 강운태 <한국일보> 논설위원이 적극 반격에 나섰다. ⓒ연합뉴스

한달 전에는 "<한겨레>는 선동 삐라"

강 위원은 한달전인 지난 1월14일에도 당시 이명박 당선인을 과도하게 격찬한 고대교우회 <100년사>를 "명비어천가"라고 질타한 <한겨레> 신문 사설에 대해 "교우회가 펴낸 ‘100년사’가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을 한껏 칭송하고, 그가 참석한 새해인사 모임이 ‘요란뻑적’ 했다고 해서 마치 국가권력 찬탈을 도모한 대역무도한 집단인양 매도한 것은 우습고도 개탄스럽다. 신문의 기본을 내팽개치고 짓밟은 난동, 난설(亂說)"이라고 맹비난한 바 있다.

그는 "악에 받친 듯한 말투와 해괴한 논리로 스스로 패거리 본색을 드러낸 것은 무너진 전선을 다시 형성하려는 시도일 수 있겠다"며 "그러나 전에도 지적했듯, 수구 ‘찌라시’를 욕하다 선동 ‘삐라’로 전락하는 것은 보기 딱하다"고 <한겨레>를 원색적으로 비난하기도 했다.

강 위원의 '고소영' 비판에 대한 재비판은 과도한 군중심리의 폐단에 대한 지적이라는 측면에서는 유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른바 세간의 '고소영' 비판이 이 대통령이 발탁한 7명의 청와대 수석중 절반이 넘는 4명이 이에 해당하는 케이스여서 제기된 비판이라는 점, 당시 강 위원이 속한 <한국일보>도 다른 언론들과 마찬가지로 신랄한 '고소영' 비판을 제기했었다는 점, 범국민적 공감을 산 이같은 비판을 일부 기득권 세력의 방어적 선동논리로 규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국민을 우중(愚衆)처럼 취급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무엇보다 '고소영'이란 단어는 네티즌들이 만든 '시대용어'라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는 점 등에서 볼 때 객관적 '자기 균형'을 상실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할 전망이어서 그의 글에 대한 향후 여론의 반향이 주목된다.
박태견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