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종환 건교 "대운하 반드시 추진하겠다"
부동산 투기, 경력 부풀리기, 증여세 누락 의혹 논란
정종환 건설교통부 장관 후보가 28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경부 대운하를 반드시 추진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정 후보는 "경부 대운하는 반드시 한다는 전제하에서 환경.경제.기술적 타당성을 검토하는 것이냐"는 한나라당 이재창 의원의 질의에 "그렇다"고 강행 의지를 분명히 하며, "민자사업으로 추진되고 있기 때문에 (사업 제안서가) 제출되면 문화 훼손성 등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그동안 강에 대한 인식이 제한적이었다"면서 "다목적 다각도로 이용할 방법을 찾아 물문제나 주운문제, 지역을 발전시키는 문제 등을 종합적으로 보고 멀리 내다보고 하겠다"며 대운하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한편 이날 인사청문회에서는 정 후보의 경력 부풀리기, 부동산투기, 증여세 누락 등 각종 의혹이 제기됐다.
이낙연 통합민주당 의원은 "정 후보자가 철도시설공단 이사장에 지원하면서 제출했던 이력서에는 한남대 교수로 재직했다고 썼지만 정식교수가 아닌 예우교수였다"며 "정교수와 다른 데도 불구하고 정확한 공식 직위를 적지 않았다"고 '경력 부풀리기' 의혹을 제기했다. 이 의원은 또 "같은 이력서에 1992년 5월부터 12월까지는 부이사관(3급)으로서 교통부 항공국장을 했으면서도 1992년 5월부터 이사관(2급)으로 교통부 항공국장을 했다고 허위 기재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같은 당 주승용 의원은 "퇴직 후 거주목적으로 배우자 명의로 충남 서천에 밭, 임야 등 6천5백92㎡(1천9백94평)를 매입했는데 거주 목적의 땅 치고는 너무 넓은 것 아니냐"면서 "건교부에 몸 담고 있으면서 한창 부동산 투기가 문제가 되던 시기에 토지를 구입했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자녀 재산을 제외하고는 전재산이 7억8천여만원 밖에 되지 않는데도 13억3천만원에 달하는 60평형대 아파트를 구입했다"면서 "단순히 주거목적으로 구입했다고는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상경 의원은 "셋째 아들의 경우 2004년 취업 이후 총 수입이 1억5천여만원인데도 2008년 2월 현재 1억6천3백35만원에 달하는 오피스텔을 보유하고 있다"면서 "부모의 지원 없이는 구입하기 힘들었을 텐데 증여세를 낸 적은 없다"고 증여세 탈루 의혹을 제기했다.
반면에 한나라당 의원들은 정책 질의에 집중했다.
김재경 의원은 "부동산 경기 활성화를 위해 투기과열지구 및 투기지역의 조정, 토지거래 허가구역은 적시성 있게 지정하되, 불필요하게 설정된 지역은 선별적으로 재조정 해야 한다"면서 부동산 규제완화를 촉구했다. 그는 "중소건설업 지원방안이 제대로 시행되고 있는지 검토해 추가 지원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면서 "공공건설투자 활성화와 미분양주택 해소책 등 지원방안을 밝히라"고 주문하기도 했다.
이진구 의원은 "주택공사와 토지공사 등 공기업들의 부채가 매년 엄청나게 불어나고 있어 강도 높은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면서 "이런 빚더미 경영을 개선할 방안이 있는지 밝혀달라"고 말했다.
정 후보는 "경부 대운하는 반드시 한다는 전제하에서 환경.경제.기술적 타당성을 검토하는 것이냐"는 한나라당 이재창 의원의 질의에 "그렇다"고 강행 의지를 분명히 하며, "민자사업으로 추진되고 있기 때문에 (사업 제안서가) 제출되면 문화 훼손성 등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그동안 강에 대한 인식이 제한적이었다"면서 "다목적 다각도로 이용할 방법을 찾아 물문제나 주운문제, 지역을 발전시키는 문제 등을 종합적으로 보고 멀리 내다보고 하겠다"며 대운하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한편 이날 인사청문회에서는 정 후보의 경력 부풀리기, 부동산투기, 증여세 누락 등 각종 의혹이 제기됐다.
이낙연 통합민주당 의원은 "정 후보자가 철도시설공단 이사장에 지원하면서 제출했던 이력서에는 한남대 교수로 재직했다고 썼지만 정식교수가 아닌 예우교수였다"며 "정교수와 다른 데도 불구하고 정확한 공식 직위를 적지 않았다"고 '경력 부풀리기' 의혹을 제기했다. 이 의원은 또 "같은 이력서에 1992년 5월부터 12월까지는 부이사관(3급)으로서 교통부 항공국장을 했으면서도 1992년 5월부터 이사관(2급)으로 교통부 항공국장을 했다고 허위 기재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같은 당 주승용 의원은 "퇴직 후 거주목적으로 배우자 명의로 충남 서천에 밭, 임야 등 6천5백92㎡(1천9백94평)를 매입했는데 거주 목적의 땅 치고는 너무 넓은 것 아니냐"면서 "건교부에 몸 담고 있으면서 한창 부동산 투기가 문제가 되던 시기에 토지를 구입했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자녀 재산을 제외하고는 전재산이 7억8천여만원 밖에 되지 않는데도 13억3천만원에 달하는 60평형대 아파트를 구입했다"면서 "단순히 주거목적으로 구입했다고는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상경 의원은 "셋째 아들의 경우 2004년 취업 이후 총 수입이 1억5천여만원인데도 2008년 2월 현재 1억6천3백35만원에 달하는 오피스텔을 보유하고 있다"면서 "부모의 지원 없이는 구입하기 힘들었을 텐데 증여세를 낸 적은 없다"고 증여세 탈루 의혹을 제기했다.
반면에 한나라당 의원들은 정책 질의에 집중했다.
김재경 의원은 "부동산 경기 활성화를 위해 투기과열지구 및 투기지역의 조정, 토지거래 허가구역은 적시성 있게 지정하되, 불필요하게 설정된 지역은 선별적으로 재조정 해야 한다"면서 부동산 규제완화를 촉구했다. 그는 "중소건설업 지원방안이 제대로 시행되고 있는지 검토해 추가 지원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면서 "공공건설투자 활성화와 미분양주택 해소책 등 지원방안을 밝히라"고 주문하기도 했다.
이진구 의원은 "주택공사와 토지공사 등 공기업들의 부채가 매년 엄청나게 불어나고 있어 강도 높은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면서 "이런 빚더미 경영을 개선할 방안이 있는지 밝혀달라"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