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 5년간 미분양아파트 4.7배 급증
건설업계의 고분양가-초과공급이 주범
참여정부 출범 이후 5년간 전국 미분양 아파트 가구수는 출범 초기에 비해 4.7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15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건설교통부 미분양 통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참여정부 출범후 첫 달인 2003년 3월 2만3천5백68가구였던 전국 미분양 가구수는 정권 말기인 지난해 12월말 기준 11만2천2백54가구로 376%(8만8천6백86가구)가 증가했다.
이 수치는 IMF사태로 최고치를 기록했던 1998년 7월 11만6천4백33가구와 비슷한 수준이며, 건설업계가 실제 미분양 아파트를 축소신고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이미 IMF사태 당시를 추월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지역별로는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이 1천3백11가구에서 1만4천6백24가구로 1천15%(1만3천3백13가구) 늘었고, 5대 광역시가 590%(3만5천2백27가구), 충청권 281%(1만2천6백47가구), 기타 지방이 233%(2만7천4백99가구) 각각 늘었다.
이처럼 미분양 아파트 증가폭이 가파른 것은 2000년대 들어 아파트 경기부양 여파로 건설사들이 실수요자의 구매력을 능가하는 고분양가로 아파트 공급을 수요이상으로 늘려왔기 때문. 요즘 미분양대란이 발발했음에도 부산, 대구 등에서는 배짱 고분양이 계속되면서 미분양 물량이 급증하고 있는 상황이다.
15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건설교통부 미분양 통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참여정부 출범후 첫 달인 2003년 3월 2만3천5백68가구였던 전국 미분양 가구수는 정권 말기인 지난해 12월말 기준 11만2천2백54가구로 376%(8만8천6백86가구)가 증가했다.
이 수치는 IMF사태로 최고치를 기록했던 1998년 7월 11만6천4백33가구와 비슷한 수준이며, 건설업계가 실제 미분양 아파트를 축소신고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이미 IMF사태 당시를 추월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지역별로는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이 1천3백11가구에서 1만4천6백24가구로 1천15%(1만3천3백13가구) 늘었고, 5대 광역시가 590%(3만5천2백27가구), 충청권 281%(1만2천6백47가구), 기타 지방이 233%(2만7천4백99가구) 각각 늘었다.
이처럼 미분양 아파트 증가폭이 가파른 것은 2000년대 들어 아파트 경기부양 여파로 건설사들이 실수요자의 구매력을 능가하는 고분양가로 아파트 공급을 수요이상으로 늘려왔기 때문. 요즘 미분양대란이 발발했음에도 부산, 대구 등에서는 배짱 고분양이 계속되면서 미분양 물량이 급증하고 있는 상황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