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민주단체들, 군부 주도 국민투표 반대투쟁 선언
"군정 독재정치 합법화 '전쟁선포'에 대대적 거부투쟁 할 것"
미얀마 군사정부가 오는 5월 실시할 예정인 신헌법 찬반 국민투표에 대해 민주 및 인권단체들이 대거 반대 투쟁을 선언하고 나섬에 따라, 작년말 민주화 시위에 이어 다시 군부와 이들 단체간 충돌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11일 AFP.AP통신에 따르면 미얀마 민주인사들의 연합단체인 '88세대 학생'은 이날 군정이 오는 5월 실시하겠다고 발표한 신헌법 찬반 국민투표는 1990년 실시된 총선 결과를 무효화하고 군정의 독재정치를 합법화하겠다는 발상이라며 이에 대한 거부 투쟁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군부 주도로 이루어진) 신헌법 찬반 투표 실시는 1990년 선거 결과를 존중하는 버마(미얀마의 옛 이름) 국민에 대한 군정의 전쟁선포"라고 규정짓고 "투표장은 정권을 연장하려는 군정과 체제 압박에서 벗어나려는 국민 사이의 전쟁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단체는 이어 군정이 신헌법 찬성을 유도하기 위해 군경을 동원, 국민을 협박하고 폭력을 휘두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88세대 학생'은 지난 1988년 3천여명의 희생자를 낸 것으로 알려진 미얀마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던 학생 단체로 지도자 대부분은 작년 승려 및 일반 시민들이 군사정권에 맞섰던 반정부 시위 때 체포돼 재수감됐다.
다른 인권 단체들도 국민투표가 지난해 민주화 운동을 폭력진압한 미얀마 정부가 국제사회로부터 받고 있는 개혁압력을 완화시키려는 술책일지 모른다고 경고하는 등 군정에 반발하고 있다.
미얀마 정부는 지난 9일 국영언론을 통해 군사 정권을 민간 정권으로 이양할 때가 왔다고 발표했으나, 야당인 민족민주동맹 (NLD)는 이같은 발표는 엉뚱하고 애매모호하다고 비판했고, 특히 니안 윈 NLD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국민투표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알기도 전에 미리 총선 날짜를 정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아웅산 수치 여사가 이끄는 '민주주의민족동맹'(NLD)은 1990년 5월 선거에서 총 4백85개 의석 가운데 3백92석을 차지하는 압승을 거뒀으나, 군정은 선거 결과를 인정하지 않고 아직까지 정권을 이양하지 않는 등 정치적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미얀마에서는 군정이 1988년 대규모 민주화 시위를 무력으로 제압한 후 1974년에 제정된 헌법 발효를 중지시켜 현재 헌법이 없는 상태로, 군정은 최근 올 5월에 신헌법에 대한 찬반을 묻는 국민투표를 실시하고 다수가 찬성하면 이를 토대로 2010년에 총선을 실시하겠다고 발표했다.
특히 미얀마에서는 지난해 불교 승려들이 주도한 민주화 시위를 미얀마 군사정부가 무력 진압하는 과정에서 최소한 31명이 숨지고 다수의 부상자가 발생하면서, 사회적 긴장과 군에 대한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11일 AFP.AP통신에 따르면 미얀마 민주인사들의 연합단체인 '88세대 학생'은 이날 군정이 오는 5월 실시하겠다고 발표한 신헌법 찬반 국민투표는 1990년 실시된 총선 결과를 무효화하고 군정의 독재정치를 합법화하겠다는 발상이라며 이에 대한 거부 투쟁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군부 주도로 이루어진) 신헌법 찬반 투표 실시는 1990년 선거 결과를 존중하는 버마(미얀마의 옛 이름) 국민에 대한 군정의 전쟁선포"라고 규정짓고 "투표장은 정권을 연장하려는 군정과 체제 압박에서 벗어나려는 국민 사이의 전쟁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단체는 이어 군정이 신헌법 찬성을 유도하기 위해 군경을 동원, 국민을 협박하고 폭력을 휘두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88세대 학생'은 지난 1988년 3천여명의 희생자를 낸 것으로 알려진 미얀마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던 학생 단체로 지도자 대부분은 작년 승려 및 일반 시민들이 군사정권에 맞섰던 반정부 시위 때 체포돼 재수감됐다.
다른 인권 단체들도 국민투표가 지난해 민주화 운동을 폭력진압한 미얀마 정부가 국제사회로부터 받고 있는 개혁압력을 완화시키려는 술책일지 모른다고 경고하는 등 군정에 반발하고 있다.
미얀마 정부는 지난 9일 국영언론을 통해 군사 정권을 민간 정권으로 이양할 때가 왔다고 발표했으나, 야당인 민족민주동맹 (NLD)는 이같은 발표는 엉뚱하고 애매모호하다고 비판했고, 특히 니안 윈 NLD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국민투표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알기도 전에 미리 총선 날짜를 정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아웅산 수치 여사가 이끄는 '민주주의민족동맹'(NLD)은 1990년 5월 선거에서 총 4백85개 의석 가운데 3백92석을 차지하는 압승을 거뒀으나, 군정은 선거 결과를 인정하지 않고 아직까지 정권을 이양하지 않는 등 정치적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미얀마에서는 군정이 1988년 대규모 민주화 시위를 무력으로 제압한 후 1974년에 제정된 헌법 발효를 중지시켜 현재 헌법이 없는 상태로, 군정은 최근 올 5월에 신헌법에 대한 찬반을 묻는 국민투표를 실시하고 다수가 찬성하면 이를 토대로 2010년에 총선을 실시하겠다고 발표했다.
특히 미얀마에서는 지난해 불교 승려들이 주도한 민주화 시위를 미얀마 군사정부가 무력 진압하는 과정에서 최소한 31명이 숨지고 다수의 부상자가 발생하면서, 사회적 긴장과 군에 대한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