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이달중 대북 중유지원 2차분 제공
닉시 박사 "부시정부, 美 의무 준수 이행 의지 내비친 것"
미국이 북핵 6자회담 합의에 따른 대북 중유지원 2차분을 제공하기로 결정하고 이르면 수일 내 의회에 통보한 뒤 이달중 북한에 보낼 준비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유아시아방송(RFA)>은 5일 미 국무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 "의회가 이미 승인한 대북 중유지원 2차분 5만4천t을 구입해 북한에 보내기로 하고 준비 중"이라며 "미국의 대북 중유지원은 6자회담 참가국 중 일본을 제외한 4개국이 한번에 5만t씩 순번제로 돌아가며 부담하기로 한 합의에 따른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지원량이 5만4천t인 것은 지난해 10월 1차분 4만6천t을 북한에 제공하면서 국제 원유가격 상승때문에 지원하지 못했던 4천t이 포함됐기 때문이라고 방송은 전했다.
한반도 전문가인 미 의회조사국(CRS)의 래리 닉쉬 박사는 이와 관련, "북한의 핵신고 지연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북한에 원유를 제공키로 한 것은 부시 정부가 6자회담 합의에 따른 미국측 이행 의무를 꼭 준수할 것이라는 강력한 의지를 내비친 것"이라고 분석했다.
북한은 지난해말로 된 핵신고 시한을 넘긴 후 국제사회의 비판이 잇따르자, 미국을 비롯한 6자회담 참여국들의 대북 에너지 지원 등 약속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불능화 속도를 늦추고 있다고 반박해왔다.
<자유아시아방송(RFA)>은 5일 미 국무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 "의회가 이미 승인한 대북 중유지원 2차분 5만4천t을 구입해 북한에 보내기로 하고 준비 중"이라며 "미국의 대북 중유지원은 6자회담 참가국 중 일본을 제외한 4개국이 한번에 5만t씩 순번제로 돌아가며 부담하기로 한 합의에 따른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지원량이 5만4천t인 것은 지난해 10월 1차분 4만6천t을 북한에 제공하면서 국제 원유가격 상승때문에 지원하지 못했던 4천t이 포함됐기 때문이라고 방송은 전했다.
한반도 전문가인 미 의회조사국(CRS)의 래리 닉쉬 박사는 이와 관련, "북한의 핵신고 지연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북한에 원유를 제공키로 한 것은 부시 정부가 6자회담 합의에 따른 미국측 이행 의무를 꼭 준수할 것이라는 강력한 의지를 내비친 것"이라고 분석했다.
북한은 지난해말로 된 핵신고 시한을 넘긴 후 국제사회의 비판이 잇따르자, 미국을 비롯한 6자회담 참여국들의 대북 에너지 지원 등 약속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불능화 속도를 늦추고 있다고 반박해왔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