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미국 요구 수용했다면 탄핵 됐을 것"
"미국과 함께하겠지만 한중관계도 잘 관리해야"
이 대통령은 지난 3일 하고 이날 공개된 <타임지>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의 요구조건들이 너무나도 엄격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 협상팀에 합리적 대안을 요청했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주한미군 부지를 미국이 갖고 싶다고 말한 데 대해선 "농담이었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이미 미국은 아무런 비용 없이 미군 기지와 부지를 사용하고 있다"며 "미국이 땅을 실제로 소유하게 된다면 재산세를 내야 한다. 우리는 그에 대한 면제는 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에 의존하는 전통적 공식으로는 돌아갈 수 없다"며 '안미경중' 포기를 거듭 분명히 한 뒤, "우리는 새로운 세계 질서와 미국을 중심으로 한 공급망에서 미국과 함께 할 것이지만 중국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한중관계도 잘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중국과 지리적으로 가깝고 역사적 관계와 경제적 유대, 인적 교류가 있기 때문에 중국과의 관계를 완전히 끊을 수는 없다"며 적절한 수준에서 관리해야 한다. 서방 세계도 이를 이해할 거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북핵 비핵화와 관련해선 "우리가 북한에 그저 그만두라고만 하면 그들이 (핵) 프로그램을 멈추겠나"라고 반문한 뒤, 동결-감축-비핵화라는 3단계 비핵화론을 거듭 폈다. 구체적으로 "단기 목표로는 그들의 핵·미사일 프로그램을 멈춰야 한다"고 짚고, "그리고 그 조치의 일부에 대해선 그들에게 보상을 할 수도 있고, 그런 뒤 군축(disarmament), 그리고 나서 완전한 비핵화(complete denuclearization)를 추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을 노벨평화상 후보로 추천할 거냐는 질문엔 "이 문제(비핵화)에 대해 구체적인 진전이 있다면 그 상을 받을 만한 사람은 트럼프 대통령 외에는 없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국내 현안에 대해선 "한국이 매우 심각한 위기에 있다"며 "이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리는 경제를 성장 궤도에 올려놓고 국민들에 기회를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