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정상명 "조희대 만난 적 없다". 특검도 "..."
민주당 "상당 정도 검증 거쳐" vs 국힘 "제2의 청담동 술자리"
부승찬 의원은 지난 16일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헌재에서 대통령 파면 결정이 이루어지고 3일 후인 4월 7일경에 한덕수, 정상명(전 검찰총장), 김충식(김건희 여사 모친 측근), 그리고 조희대 대법원장이 만났다는 제보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당시 조 대법원장이 “이재명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이 대법원에 올라오면 대법원에서 알아서 처리한다”라고 말했다는 제보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한덕수 전 총리 측 관계자는 17일 각 언론에 “헌법재판소의 윤 전 대통령 탄핵 결정 이전과 이후를 막론하고 조 대법원장과 회의나 식사를 한 사실이 일체 없다”며 “한 전 총리는 조 대법원장과 개인적 친분도 전혀 없다”고 말했다.
정상명 전 검찰총장도 <TV조선>과의 통화에서 “대응할 가치가 없어. 그 사람들은 면책 특권 뒤에 숨어서 연기를 하는 거야.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자기들이 제일 잘 알걸”이라며 “나는 조 대법원장을 알지도 못해. 본 적도 없어”라고 말했다.
내란특검의 박지영 특검보도 이날 오후 정례 브리핑에서 정청래 민주당 대표의 '조희대-한덕수 회동' 의혹 즉각 수사 촉구에 대해 "현 단계에서 수사에 착수할 만한 건 없는 것으로 안다"며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반면에 민주당은 계속해 의혹을 기정사실화했다.
문대림 대변인은 이날 제주 현장 최고위원회의후 기자들과 만나 "헌법기관인 의원이 의정 단상에서 발표하는 건 상당 정도의 검증, 실체적 확인을 거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제보를 받은 게 부 의원 혼자가 아닌 걸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구체적 내용에 대해선 밝히기 곤란하다"고 했다.
해당 의혹은 새로운 게 아니라, 이미 지난 5월 서영교 민주당 의원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제보를 받았다"면서 익명의 녹취록을 공개한 바 있다.
녹취 속 인물은 "나도 이야기를 들은 게 있는데 4월 4일 윤석열 탄핵 선고가 끝나고 4월 7일인가 10일인가 15일인가, 그 발음이 정확하지 않아서 하여튼 그때쯤 조희대 대법원장, 정상명, 김충식, 한덕수하고 네 명이 만나 점심을 먹었다. 그 자리에서 조희대가 그런 말을 했다는 거야. '이재명 사건이 대법원에 올라오면 알아서 처리한다'고 얘기했다고 한다. 그 4명이서 한 얘기가 다음 대통령은 내각제를 할 수 있는 사람으로 몰고 있다"고 말했다.
서 의원은 "이 내용이 사실인지는 모르겠으나"라고 전제한 뒤 천대엽 법원행정처장에게 해명을 요구했고, 천 처장은 "처음 듣는 내용이지만 하늘이 두 쪽 나도 우리 대법원장은 그럴 분이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은 '제2의 청담동 술자리' 허위 공세라고 맞받았다.
주진우 의원은 이날 <TV조선> '류병수의 강펀치'에 나와 "청담동 술자리 의혹보다 더 나쁜 짓"이라며 "사법부 독립을 흔드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방송에서 절대 얘기 못하잖나. 면책 특권이 없으니까"라고 힐난했다.
전주혜 전 의원도 이날 YTN 뉴스에서 "전형적인 공작정치"라며 "저 말을 듣고 청담동 술자리 의혹을 제기했던 김의겸 의원의 법사위 장면이 떠올랐다"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