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美상원, '미묘한' 주한미군 문안 변경

주한미군 감축 금지? 주한미군 감축 길트기?…현재로선 불분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한미군을 줄일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미국 의회의 연례 국방 예산·정책 법안 초안에 담긴 주한미군 관련 내용에도 변화가 생겼다.

상원 군사위원회는 지난 11일 2026회계연도 국방수권법안(NDAA)에 대한 표결을 실시해 찬성 26표, 반대 1표로 가결 처리했다.

군사위가 공개한 요약본을 보면 법안은 "한반도에서의 미국 군사 태세의 축소나 연합사령부에 대한 전시작전통제권의 전환이 국익에 부합한다고 국방부 장관이 의회에 보증하기 전까지 그런 조치를 금지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또 합참의장과 인도태평양사령관, 주한미군사령관이 주한미군 축소나 전작권 전환에 따르는 위험에 대해 독립적인 평가를 수행할 것을 지시하도록 했다.

아직 법안 전체가 공개되지 않았지만, 요약본에 설명된 주한미군 관련 내용은 전임 바이든 행정부 때 제정된 국방수권법과 차이가 있다.

작년 12월에 의회를 통과한 2025회계연도 국방수권법은 국방부 장관이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미국의 안보 동맹과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노력을 계속 해야 한다는 게 의회의 인식이라고 명시했다.

그러면서 그런 노력에는 "한국에 배치된 약 2만8천500명의 미군 규모를 유지하고, 상호 방위 기반 협력을 향상하며, 미국의 모든 방어 역량을 활용해 확장억제를 제공하겠다는 약속을 확인하는 것을 비롯해 한국과의 동맹을 강화하는 것"이 포함된다고 밝혔다.

주한미군 감축 자체를 금지하지는 않았지만, 현 수준인 2만8천500명 유지를 명시해 주한미군 주둔에 대한 의회의 초당적 지지를 강조했다.

이번 법안에도 주한미군 규모를 명시했는지는 문안이 공개돼야 확인이 가능하겠지만, 이번 법안의 내용은 주한미군 감축 우려가 컸던 트럼프 1기 행정부 때의 국방수권법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

미국 의회는 트럼프 1기 행정부 때인 2019∼2021 회계연도에는 국방수권법에 주한미군 규모를 명시하면서 국방수권법 예산을 주한미군 감축에 사용하지 못하도록 명시했다.

다만 당시에도 국방부 장관이 주한미군 감축이 미국의 국익에 부합하고, 역내 미국 동맹의 안보를 크게 약화하지 않으며, 한국·일본과 적절히 협의했다는 사실을 의회에 보증한 경우에는 가능하다는 단서 조항을 달았다.

당시 법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주한미군 감축을 실제로 막는 역할을 한 것은 국방부 장관의 보증이 아니라 예산 사용 금지 조항이었다.

예산 사용 금지와 같은 실질적인 제어 장치 없이 국방부 장관 보증만으로 주한미군 감축을 허용할 경우 이는 오히려 의회가 감축의 길을 열어주는 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는 관측도 있다.

예산 사용 금지 조항은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에 실패하고 이후 동맹과 협력을 중시하는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해 주한미군 감축을 우려하지 않아도 되면서 국방수권법에서 사라졌다.

의회는 2022회계연도부터 국방수권법에서 예산을 주한미군 감축에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조항을 삭제하고 현재의 주한미군 규모를 적시하는 방식으로 주한미군 주둔에 대한 지지 입장을 밝혀왔다.

국방수권법은 국방부의 예산 지출과 정책을 승인하는 연례 법안이다.

상원과 하원을 각각 통과한 다음 상·하원 단일안을 만들어 처리하게 된다.
연합뉴스

댓글이 7 개 있습니다.

  • 1 0
    미국의 입장에서 생각해보자

    한반도 종전협정후 한반도 평화체제가 되면
    미군은 철수할까?.
    미군은 절대로 한반도에서 철수못한다.
    단지 미국이 중국과 러시아를 견제하는 최전방인 휴전선이
    북한의 압록강-백두산-두만강 라인으로 올라가고 이과정에서
    미국은 북한과 적대적공생관계에서 상호협력공생관계로 바뀌는것뿐이다.

  • 1 0
    미국외교원칙은 영토와 민족주의 불인정

    미국은 다민족으로 출발했으므로
    단일민족에 대한 개념이 희박할수밖에없고
    아메리카 원주민(인디언)의 영토자원을 탈취해서
    미국을 개발했으므로 영토주권의 역사성도 부정한다
    다만 그런 원칙을 분명하게 표현하지않을뿐이다
    미국은 한국헌법의 한반도와 부속도서가 한국영토라는것도
    인정안할것이므로 미국은 북한과 종전평화협정후
    북한과 동맹이될수있다

  • 1 0
    어차피 중국-러시아가 존재하는한

    주한미군은 말뚝이며
    트럼프의 미군철수 언급은 그냥 허풍만 떠는것이다
    왜냐고?
    미국은 중국이 중동유럽으로 진출하는 아프가니스탄 실크로드에
    교두보를 만들려다 2천조원쓰고 실패했지만
    동북아는 중국과 러시아를 방어하는데 한국보다 더좋은
    지정학적 위치는 구글지도를 아무리 찾아봐도 없으므로
    미국-일본에게만 좋은 지소미아 파기해도 주한미군은 못떠난다

  • 2 0
    박통

    꼴랑 1개사단 갖고 지랄쇼한다.,

    한때 미군 60만이 월남 주둔해도

    결국 졌다., 빨리 핵무장이나 서둘러

  • 2 0
    주한미군

    주한미군우리더러 100억달러 내라고 우리나라을위해주한미군있냐 이자식더라 우리나라에서 꺼져이제필요없다누구한태비용 100억달러내놓아라하냐 사기꾼도적놈트럼프개자식아 꼭윤석열같은놈아

  • 8 0
    이런건 어차피 각본 따라가는 거고

    럼프영감이나 의회는 짜여진 긱본에 따라가는거고

    주한미군 감축은 자연스럽게 전작권 가져오는데
    중요한 명분들중 하나지

    한국도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기존에는 중국이 대북협상에 중개자 역할을 했다면
    이젠 러시아를 끌어들여 봐라

    중국 견제 차원도 있고
    러시아는 딱히 한반도에 얽매이지 않는 나라이고
    러-우전쟁 종결과 럼프영감을 같이 엮어서
    큰 판을 짜봐야지

  • 6 0
    YANKEE GO HOME

    꺼 ~ 져

    사드 가지고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