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한국기업은 4대 변화 위기, 금융권은 가계부채 위기"
'신용등급 강등 위기' 기업 8%→15%
박준홍 S&P 글로벌 레이팅스 상무는 이날 오전 서울 명동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반도체 등 실적 회복세를 보이는 섹터도 일부 있지만 전반적으로 많은 섹터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현재 국내 기업들은 미국 관세, 전기차로의 전환 지연, 과잉공급, AI의 빠른 성장 등 4대 구조적인 변화에 직면해 있다"고 지적했다.
박 상무는 전날에도 보고서를 통해 동일한 지적을 하며 "앞의 세 가지 변화로 인해 향후 1~2년 동안 영업환경이 어려워질 수 있으며, 화학, 철강, 자동차, 배터리와 같은 산업들은 더 큰 수익성 압박을 받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같은 구조적 변화에 직면한 결과, 신용등급 강등 위기에 직면한 기업들이 크게 늘었다.
지난해 6월 기준 S&P가 평가하는 국내 기업 39개사의 등급 전망 비중은 '긍정적'이 5%, '안정적'이 87%, '부정적'이 8%였다. 그러나 올해 6월 현재 '안정적'이 85%로 2%포인트 감소한 반면 '부정적'은 15%로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긍정적'은 0%로 줄어들었다. 신용등급이 오를 기업은 없다는 의미다.
특히 중국발 과잉 공급 리스크에 직면한 석유화학 업종 기업들이 무더기 신용등급 강등 위기에 직면했다.
박 상무는 "많은 석유화학 기업이 수익성 압박에 시달리고 있는데, 특히 재무 측면에서 단기성 차입금이 많다"면서 "유동성 이슈가 단기간 확대할 것으로 예상하지는 않지만 펀딩 비용 상승은 압박 요인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한국의 석유화학 기업이 범용 제품을 많이 생산하고 있는 만큼 원가 경쟁력이 높은 중국 기업과 경쟁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산업 전반적으로 구조조정의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말했다.
김대현 S&P 상무는 최근 서울집값 급등에 따른 가계부채 급증과 부동산시장 양극화 심화가 한국 금융산업에 위험 요소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고 경고했다.
김 상무는 금융위의 6억원이상 담보대출 금지에 대해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줬다"면서도 "그럼에도 가계대출 수요는 시장 원리에 따라 움직인다. 잠재 매수자들이 기준금리 인하후 부채 부담 금리가 줄었고, 부동산 시장이 더 상승할 것으로 보는 사람이 많아 수요가 몰릴 것"이라며 집값 상승을 잡기에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면서 "공급 관리는 가능하겠으나, 수요 관리엔 의문이 있어 가계부채 비율 관리에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며,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아울러 가계부채 증가 외에도 "향후 내수와 관련한 중소기업과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부채 리스크가 커질 수도 있다"며 "국내 내수 관련 노출이 많은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건전성이 악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