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연, ㈜한화 지분 절반 세 아들에 전격 증여. 경영승계 마무리
세 아들, 지주회사인 한화 지분율 42.67%로 높아져
㈜한화는 31일 김 회장이 보유한 ㈜한화 지분 22.65%의 절반인 11.32%를 세 아들에게 증여했다고 공시했다.
증여 지분은 김동관 부회장 4.86%, 김동원 사장 3.23%, 김동선 부사장 3.23%씩이다.
증여후 그룹 지주사격인 ㈜한화의 지분율은 한화에너지 22.16%, 김 회장 11.33%, 김동관 부회장 9.77%, 김동원 사장 5.37%, 김동선 부사장 5.37% 등이 된다.
세 아들은 한화에너지의 지분 100%를 가진 상태여서, 이번 지분 증여로 세 아들의 ㈜한화 지분율은 42.67%가 돼 사실상 경영권 승계가 완료됐다.
김 회장은 지분 증여 이후에도 한화그룹 회장직을 유지하며 경영 자문 및 글로벌 비즈니스 지원을 계속할 예정이다.
김 회장은 앞서 발표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유상증자와 한화오션 지분 인수가 승계와 연관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금융당국도 부정적 입장을 보이자 전격 승계로 의혹 해소에 나선 모양새다.
한화그룹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유럽 방산 블록화, 경쟁 방산업체들의 견제 등에 대응하기 위해 생존전략으로 유상증자를 결정했다"며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한화오션 지분 인수 역시 승계와 무관하고, 두 회사의 글로벌 육해공 방산 패키지 영업을 위한 전략적 조치였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지분 증여에 따른 승계 완료로 '㈜한화-한화에너지 합병을 위해 ㈜한화의 기업가치를 낮춘다'는 오해가 바로잡히고, 주주가치 훼손에 대한 의구심도 해소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분 증여로 김동관 부회장 등이 내야 할 증여세는 2천218억원(3월4일∼31일 평균 종가 기준) 규모다.
한화그룹은 "과세 기준 가격은 한 달 후인 4월 30일 기준 전후 각각 2개월 주가 평균 가격으로 결정된다"며 "이에 따라 주가가 낮은 시점에 증여를 결정했다거나 주식 가격을 의도적으로 낮췄다는 주장은 가능하지 않게 됐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