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헤즈볼라 '삐삐' 폭발, 이스라엘 설치 폭발물 때문"
"대만산 삐삐에 폭발물 투입"
레바논에서 무장단체 헤즈볼라가 사용하는 무선호출기 수백 대가 동시에 폭발한 것은 이스라엘이 사전에 설치한 폭발물 때문으로 전해졌다.
뉴욕타임스(NYT)는 17일(현지시간) 미국과 서방국가 당국자를 인용해 이스라엘이 무선호출기 폭발사건의 배후라고 보도했다.
이스라엘 정부는 폭발사건에 대해 입장을 밝히지 않았지만, 미국과 주요 서방국에는 이번 사건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미국 등 서방국 당국자들은 이스라엘이 헤즈볼라가 수입한 대만산 무선호출기에 소량의 폭발물을 투입했다고 말했다.
당국자들에 따르면 폭발한 무선호출기는 헤즈볼라가 대만 골드아폴로에 주문해 납품받은 것이다. 각 기기의 배터리 옆에 1∼2온스(28∼56g)의 폭발물이 들어가 있었으며 이를 원격으로 터뜨릴 수 있는 스위치도 함께 내장됐다.
이스라엘은 또한 무선호출기가 폭발 직전 수초간 신호음을 내게 하는 프로그램까지 설치했다고 당국자 3명이 말했다.
이 때문에 다수 피해자들은 무선호출기 화면을 확인하려는 과정에서 폭발에 따른 상처를 입었다. 피해자 대부분은 손이나 얼굴, 복부를 다쳤으며 손가락을 잃거나 두 눈을 심각하게 다친 이들도 있었다.
폭발 당시 영상을 본 보안 전문가들도 폭발의 강도와 속도가 단순한 기기 이상이 아닌 폭발물에 의한 것임이 분명하다고 말했다고 NYT는 전했다.
앞서 헤즈볼라는 지난해 10월7일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의 테러 이후 가자전쟁이 발발하자 도청이나 위치 추적을 피하겠다는 목적으로 무선호출기 사용을 늘렸다.
특히 헤즈볼라 최고 지도자 하산 나스랄라는 지난 2월 이스라엘이 표적 공격에 활용할 수 있다며 휴대전화를 쓰지 말고 폐기하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이 같은 분위기 속에서 헤즈볼라가 대량으로 무선호출기를 주문하자 이스라엘 정보당국은 이를 역이용해 공격 수단으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
당국자들은 헤즈볼라가 대만 골드아폴로에 무선호출기 3천대 이상을 주문했으며 레바논 전역의 조직원들에게 배포했다고 말했다. 일부는 이란과 시리아 등 동맹국에도 전달됐다.
이스라엘 정보당국은 암살 등 작전 수행을 위해 50여년 전부터 전화 등 통신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해왔다.
1972년 뮌헨올림픽 직후 프랑스 파리에 주재했던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 간부 마흐무드 함샤리의 암살에는 유선 전화가 동원됐다.
팔레스타인 테러 조직에 살해당한 이스라엘 선수단 11명에 대한 복수에 나선 이스라엘은 함샤리 자택의 전화기에 폭탄을 설치했다.
이후 전화를 받기 위해 수화기에 손을 댄 함샤리는 폭발 탓에 중상을 입었고, 한 달 만에 사망했다.
1996년 이스라엘의 국내정보기관 신베트가 꾸민 하마스의 사제폭발물 기술자인 야히아 아야시 암살에는 휴대전화기가 사용됐다.
아야시는 이스라엘에 포섭된 팔레스타인인이 건넨 휴대전화를 사용하던 중 폭발로 목숨을 잃었다.
암살 작전에 사용된 모토로라 휴대전화에 장착된 폭발 물질은 50g 정도였다. 휴대전화가 귀 부근에서 폭발할 경우 치명적인 상처를 주기에 충분한 분량이었다.
통신 수단이 직접 암살 기구로 사용된 것은 아니지만, 작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사례도 있다.
지난 2020년 이란의 핵무기 개발 계획을 주도한 과학자 모흐센 파크리자데의 암살에는 위성통신이 사용됐다.
암살 당시 파크리자데는 부인과 함께 테헤란 동쪽의 휴양지에서 경호팀의 보호 아래 승용차를 타고 이동하던 중 무인 기관총 공격을 받고 숨졌다.
이란 당국 조사 결과 현장에서 발견된 픽업트럭 위에 설치된 기관총은 위성통신으로 원격 발사된 것으로 나타났다.
뉴욕타임스(NYT)는 17일(현지시간) 미국과 서방국가 당국자를 인용해 이스라엘이 무선호출기 폭발사건의 배후라고 보도했다.
이스라엘 정부는 폭발사건에 대해 입장을 밝히지 않았지만, 미국과 주요 서방국에는 이번 사건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미국 등 서방국 당국자들은 이스라엘이 헤즈볼라가 수입한 대만산 무선호출기에 소량의 폭발물을 투입했다고 말했다.
당국자들에 따르면 폭발한 무선호출기는 헤즈볼라가 대만 골드아폴로에 주문해 납품받은 것이다. 각 기기의 배터리 옆에 1∼2온스(28∼56g)의 폭발물이 들어가 있었으며 이를 원격으로 터뜨릴 수 있는 스위치도 함께 내장됐다.
이스라엘은 또한 무선호출기가 폭발 직전 수초간 신호음을 내게 하는 프로그램까지 설치했다고 당국자 3명이 말했다.
이 때문에 다수 피해자들은 무선호출기 화면을 확인하려는 과정에서 폭발에 따른 상처를 입었다. 피해자 대부분은 손이나 얼굴, 복부를 다쳤으며 손가락을 잃거나 두 눈을 심각하게 다친 이들도 있었다.
폭발 당시 영상을 본 보안 전문가들도 폭발의 강도와 속도가 단순한 기기 이상이 아닌 폭발물에 의한 것임이 분명하다고 말했다고 NYT는 전했다.
앞서 헤즈볼라는 지난해 10월7일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의 테러 이후 가자전쟁이 발발하자 도청이나 위치 추적을 피하겠다는 목적으로 무선호출기 사용을 늘렸다.
특히 헤즈볼라 최고 지도자 하산 나스랄라는 지난 2월 이스라엘이 표적 공격에 활용할 수 있다며 휴대전화를 쓰지 말고 폐기하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이 같은 분위기 속에서 헤즈볼라가 대량으로 무선호출기를 주문하자 이스라엘 정보당국은 이를 역이용해 공격 수단으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
당국자들은 헤즈볼라가 대만 골드아폴로에 무선호출기 3천대 이상을 주문했으며 레바논 전역의 조직원들에게 배포했다고 말했다. 일부는 이란과 시리아 등 동맹국에도 전달됐다.
이스라엘 정보당국은 암살 등 작전 수행을 위해 50여년 전부터 전화 등 통신수단을 적극적으로 사용해왔다.
1972년 뮌헨올림픽 직후 프랑스 파리에 주재했던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 간부 마흐무드 함샤리의 암살에는 유선 전화가 동원됐다.
팔레스타인 테러 조직에 살해당한 이스라엘 선수단 11명에 대한 복수에 나선 이스라엘은 함샤리 자택의 전화기에 폭탄을 설치했다.
이후 전화를 받기 위해 수화기에 손을 댄 함샤리는 폭발 탓에 중상을 입었고, 한 달 만에 사망했다.
1996년 이스라엘의 국내정보기관 신베트가 꾸민 하마스의 사제폭발물 기술자인 야히아 아야시 암살에는 휴대전화기가 사용됐다.
아야시는 이스라엘에 포섭된 팔레스타인인이 건넨 휴대전화를 사용하던 중 폭발로 목숨을 잃었다.
암살 작전에 사용된 모토로라 휴대전화에 장착된 폭발 물질은 50g 정도였다. 휴대전화가 귀 부근에서 폭발할 경우 치명적인 상처를 주기에 충분한 분량이었다.
통신 수단이 직접 암살 기구로 사용된 것은 아니지만, 작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사례도 있다.
지난 2020년 이란의 핵무기 개발 계획을 주도한 과학자 모흐센 파크리자데의 암살에는 위성통신이 사용됐다.
암살 당시 파크리자데는 부인과 함께 테헤란 동쪽의 휴양지에서 경호팀의 보호 아래 승용차를 타고 이동하던 중 무인 기관총 공격을 받고 숨졌다.
이란 당국 조사 결과 현장에서 발견된 픽업트럭 위에 설치된 기관총은 위성통신으로 원격 발사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