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美근원물가 40년만에 최대 폭등. 세계 '쇼크'
'인프레 수출'로 미국소비 왕성. 연준의 '울트라스텝'까지 전망
미국 노동부는 13일(현지시간)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보다 8.2% 올랐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달의 8.3%보다는 낮아진 것이나, 전월 대비로는 0.4%포인트 오른 것이다. 아울러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전년 동월 대비 8.1%, 전월 대비 0.3%포인트)를 각각 웃도는 것이다.
특히 미연준이 금리 결정시 가장 중시하는,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보다 6.6%, 전월보다 0.6% 각각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982년 이후 40년만에 최대 최고치다.
국제유가 하락세로 휘발유 가격이 전월보다 4.9% 내려가는 등 에너지 가격지수가 2.1%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식료품(0.8%)과 주거비용(0.7%) 등이 가파른 오름세를 이어갔기 때문이다.
에너지 부문에서도 천연가스(2.9%)와 전기료(0.4%)는 전월보다 올랐고, 식료품과 주거비용은 전년 동월보다 각각 11.2%, 6.6%나 급등했다.
이는 연준의 공격적 금리인상에 따른 달러화 초강세로, 미국내 인플레 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아지면서 소비가 급증한 결과로 풀이된다. 실제로 미국 상류층 소비자들은 달러 초강세를 계기로 세계 명품을 싹쓸이하는 등 펑펑 돈을 쓰고 있다.
이에 따라 연준의 4연속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0.74%p 인상)이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면서 달러 초강세가 더욱 급속히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블룸버그>는 “CPI 상승세는 앞으로 몇 달간 완만해질 것으로 예상되나, 연준의 목표치인 2%까지 내려가는 데는 오랜 기간이 걸릴 것”이라며,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자이언트스텝을 기정사실화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의 금리 인상률 전망에 따르면 이날 연준이 11월 FOMC에서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올릴 가능성은 97.8%로 폭등하며 시장은 자이언트스텝을 기정사실화했다.
일각에서는 연준이 울트라스텝(기준금리 1.0%p 인상) 가능성까지 점쳐지는 등 월가에 긴장감이 빠르게 확산되는 양상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