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우크라이나 대사에 "조속한 평화 기원"
우크라이나 대사 "한국 인도주의적 지원에 감사"
문재인 대통령은 26일 드미트로 포노마렌코 주한우크라이나 대사에게 위로를 전하며 "조속한 평화를 기원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 본관엥서 코트디부아르, 알제리, 인도네시아, 캐나다, 이집트, 세르비아, 영국, 포르투갈, 우크라이나, 세네갈, 파키스탄, 요르단, 키르기즈스탄, 태국 등 14개국 주한대사 신임장 제정식 후 환담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에 포노마렌코 대사는 문 대통령이 우크라이나를 언급한 점과, 그간 한국 정부가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영토 보전을 일관되게 지지하고 우크라이나에 보여준 온정과 인도주의적 지원에 감사를 표했다.
이어 한국 어린이가 우크라이나 지원의 상징으로 본인의 재킷에 달아준 배지를 보여주며 항상 패용한다면서, "한국 국민들의 지원에 특별히 감사하고, 지원이 지속·확대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대통령으로서 마지막으로 신임장을 제정받는 날이라 감회가 남다르다"면서 "우리 정부는 역대 어느 정부보다 외교에 주력했는데, 외교의 범주가 정치, 안보에 머물지 않고 경제, 공급망, 방역, 기후위기 대응으로 확대되었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위상이 높아져 국제적으로 협력할 사안도 많아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각국의 국정에서 외교가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가는 것은 세계적 현상으로, 외교의 역할이 커진 만큼 각국을 대표하는 대사들의 역할도 더욱 중요해졌다"면서, "전 세계가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회복을 이룰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우리 정부의 노력을 지지해 준 데 대해 감사의 인사를 전하며, "한반도뿐만 아니라 세계 각 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전통적 안보 문제, 그리고 전염병, 환경문제와 같은 비전통적 안보 문제 모두 연대와 협력을 통해 해결해야만 근본적이고 지속가능한 평화와 번영을 이룰 수 있다"고 했다.
콜린 제임스 크룩스 주한영국 대사는 주한 대사관에 두 번, 주북한 대사관에 두 번을 합쳐 한반도에 네 번째 근무한다며, "평양 주재 영국대사관이 재개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간디 술리스티얀토 2017년 양국 관계가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되고 인도네시아에 많은 투자가 이루어진 점에 대해 감사의 뜻을 표하고, "양국 간 협력이 더욱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 본관엥서 코트디부아르, 알제리, 인도네시아, 캐나다, 이집트, 세르비아, 영국, 포르투갈, 우크라이나, 세네갈, 파키스탄, 요르단, 키르기즈스탄, 태국 등 14개국 주한대사 신임장 제정식 후 환담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에 포노마렌코 대사는 문 대통령이 우크라이나를 언급한 점과, 그간 한국 정부가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영토 보전을 일관되게 지지하고 우크라이나에 보여준 온정과 인도주의적 지원에 감사를 표했다.
이어 한국 어린이가 우크라이나 지원의 상징으로 본인의 재킷에 달아준 배지를 보여주며 항상 패용한다면서, "한국 국민들의 지원에 특별히 감사하고, 지원이 지속·확대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대통령으로서 마지막으로 신임장을 제정받는 날이라 감회가 남다르다"면서 "우리 정부는 역대 어느 정부보다 외교에 주력했는데, 외교의 범주가 정치, 안보에 머물지 않고 경제, 공급망, 방역, 기후위기 대응으로 확대되었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위상이 높아져 국제적으로 협력할 사안도 많아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각국의 국정에서 외교가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가는 것은 세계적 현상으로, 외교의 역할이 커진 만큼 각국을 대표하는 대사들의 역할도 더욱 중요해졌다"면서, "전 세계가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회복을 이룰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우리 정부의 노력을 지지해 준 데 대해 감사의 인사를 전하며, "한반도뿐만 아니라 세계 각 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전통적 안보 문제, 그리고 전염병, 환경문제와 같은 비전통적 안보 문제 모두 연대와 협력을 통해 해결해야만 근본적이고 지속가능한 평화와 번영을 이룰 수 있다"고 했다.
콜린 제임스 크룩스 주한영국 대사는 주한 대사관에 두 번, 주북한 대사관에 두 번을 합쳐 한반도에 네 번째 근무한다며, "평양 주재 영국대사관이 재개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간디 술리스티얀토 2017년 양국 관계가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되고 인도네시아에 많은 투자가 이루어진 점에 대해 감사의 뜻을 표하고, "양국 간 협력이 더욱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