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현수 민정수석 사의 표명후 침묵해온 강성 친문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일제히 신 수석을 융단폭격하고 나서, 신 수석이 끝내 사의를 철회하지 않으면서 여권의 '신(新)공적'으로 급부상하기 시작한 모양새다.
김용민 민주당 의원은 21일 페이스북을 통해 "중요한 것은 검찰청법상 검사들에 대한 인사권자는 대통령이고, 제청권자는 법무부장관이라는 사실"이라며 "나머지 등장인물인 검찰총장이나 민정수석은 주체가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런 구조에서 자의든 타의든 중심을 잡지 못하고 있는 민정수석의 대응은 부적절하다"며 "대통령의 인사권에 개입하려고 한 것은 오만한 윤석열 검찰이 하던 행동이다. 이번 사태에서 다시 윤석열의 그림자가 보이는 게 저 혼자만의 착각이길 바란다"며 신 수석을 '제2의 윤석열'로 규정했다.
김경협 민주당 의원도 22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신 수석의 거취에 대해 "대통령을 열심히 보좌할 생각이 있으면 하는 것이고, 평양감사도 자기 싫으면 못 하는 거다. 자기 정치 하려고 하면 못 하는 것"이라며 신 수석 행위를 '자기 정치'로 규정했다.
진행자가 이에 '지금 신 수석이 자기 정치를 하고 있다고 생각하냐'고 묻자, 그는 "지금 인사과정에 본인의 의사가 반영이 됐느냐 안 됐느냐 이걸 가지고 지금 계속 논란을 하는 것 같은데, 법무부장관이 인사제청권을 가지고 있고 재청을 하고 대통령이 재가를 받아서 발표하고 그 과정에 사실은 청와대 비서관의 역할은 이걸 제대로 전달하고 다시 대통령에게 재가를 받아서 전달하는 역할 아니냐"고 신 수석을 비판했다.
이어 "지금 문재인 정부의 국정운영의 기조가 검찰개혁이고 검찰이 특정 인맥이 주요 요직을 독식하는 구조나 이런 것들을 개혁해야 한다라는 것"이라며 "이런 문제들을 개혁해 나가는 데 있어서 큰 기조에 따라서 인사가 이루어질 것이고 그런 인사에 대해서 당연히 대통령을 보좌하는 비서관으로서는 당연히 거기에 맞춰서 실질적으로 제대로 보좌를 하는 게 그 임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간 열린민주당 황의석 최고위원이 신 수석을 검찰 편이라고 비난하며 사의를 수용해야 한다고 주장한 적은 있으나,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사태 추이를 예의주시하며 침묵으로 일관해왔다. 그러던 친문 의원들이 신 수석을 융단폭격하고 나선 것은 신 수석이 여권 설득에도 불구하고 사의를 굽히지 않으면서 문재인 대통령의 사표 수리가 초읽기에 들어간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이론물리학 논문<새로운 파이 중간자(소립자)의 발견에 관하여>와 논문<특수상대론은 틀렸는가?> 부제) 광속도 가변(가감)의 원리 는 교토대학 유카와 이론물리 연구소에 일본어로 번역해서 1998년에 국제우편으로 보냈죠! 이때 1998년에 유카와 이론물리 연구소의 소장은 2008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마스카와 도시히데였죠!
아인슈타인은 만년에 특수상대론이 틀렸다고 고백(특수상대론은 신기루라고 고백)했다고 시립도서관에 있던 독일인이 쓴 책에서 읽었죠! 아인슈타인이 빛을 뒤쫓아서 빛의 속도와 같아진다고 할 때 아인슈타인이 질량을 가지고 있으므로 광속도와 같아질 수 없죠!!!(2009년에 발견했음)
민정수석이 아니라 윤석열수석으로서 검찰의 이익을 챙기려다 제동이 걸리자 청와대를 뛰쳐나간 신현수. ⟨나는 검찰을 위해서 온몸을 바쳤다.⟩는 걸 만천하에 알렸으니 신현수란 놈은 자신이 원하는 바를 충분히 성취했다. 이제 변호사로 돌아가면 검찰의 대대적인 지원 아래 떼돈 벌 일만 남았다.